민주당 경선 컷오프 후보들 반발·승복 엇갈린 행보
“납득 어렵다” 재심 신청 의사
“당 승리 힘쓰겠다” 일부는 승복
광주 광산갑 지역구 등
1차 발표 제외에 ‘설왕설래’
“당 승리 힘쓰겠다” 일부는 승복
광주 광산갑 지역구 등
1차 발표 제외에 ‘설왕설래’
![]() |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이하 공관위)가 6일 광주 3곳을 포함한 1차 경선 지역을 발표하면서 경선 후보에서 배제(컷오프)된 예비후보들의 반발이 거세다.
컷오프(공천배제)된 예비후보들은 동남갑에서 노형욱 전 국토교통부 장관과 오경훈 이재명의 기본사회연구소 소장, 북구갑은 문상필·진선기 전 광주시의원, 북구을은 김세미가 디지털시대공감 이사장·조현환 광주전남정치개혁연대 공동대표 등이다.
이날 컷오프된 일부 예비후보는 공관위 결정을 납득하기 어렵다며 재심 신청 의사를 밝혔다.
오경훈 예비후보는 “정치 신인으로서 도덕성에 흠결이 없고 현역 의원보다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있는데다 정치 신인 가산점 등을 고려하면 시스템 공천상 3인 경선에 들어가지 못할 이유가 없다”면서 “이러면 정치 신인은 어떻게 당내 경선에 들어갈 수 있겠느냐, 기회조차 주지 않은 것은 당의 혁신에 반하는 것이라고 생각해 재심을 신청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노형욱 예비후보도 “즉시 재심 신청을 하고 2인 경선에서 제외된 이유를 들어봐야겠다”고 밝혔다.
문상필 예비후보도 “재심 신청을 하기로 했다”며 “그동안 민주당에 했던 역할이 있고 전국의 장애인 후보가 1명밖에 없는 상태에서 배제하는 것은 사회적 약자를 배제한 것으로 문제가 있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반면, 조현환 예비후보는 “중앙당 결정을 수용하고 평범한 시민으로 돌아가 민주당 총선 승리를 위해 힘쓰겠다”고 컷오프에 승복했다.
김세미가 예비후보도 “캠프 회의 결과 (컷오프를) 당연히 받아들인다”면서도 “설 전까지는 아침 저녁 거리 인사는 계속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또한, 이날 1차 경선 지역에 광주지역 3곳 선거구만 포함된 배경과 컷오프 기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남의 경우 선거구 획정 여부가 아직 결정되지 않은 만큼 경선지역 발표가 늦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광주의 경우 일부 선거구가 제외되면서 각 예비후보 선거 캠프별로 각종 억측이 난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1차 경선 지역에 포함되지 않은 광주 동남을 선거구의 경우 8명의 예비후보가 난립하고 있고, 서구갑과 광산을도 각각 4명의 예비후보가 나선 상황이어서 경선 후보 선정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하지만, 광산갑 선거구가 이날 발표에서 제외된 것을 두고 지역 정치권은 의아해하고 있다. 현재 현역인 이용빈 의원과 박균택 당 대표 법률 특보 등 두 명의 예비후보가 공천 경쟁을 벌이고 있는 만큼 2인 경선 지역구로 발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공관위 측은 1차 경선 지역 선정에 특별한 기준은 없었고, 논의된 순서에 따른 결과와 경선에 전혀 문제가 없는 선거구부터 발표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앙당 관계자도 “보통 1, 2위 후보들과의 격차가 20∼30% 이상 큰 차이가 나거나 큰 결격 사유가 공관위에서 제기됐을 경우 컷오프되는 것이다”면서 “이날 발표된 광주지역 3곳의 1차 경선 지역의 경우 이런 기준과 요건이 맞았기 때문일 것이다”고 설명했다.
/최권일·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컷오프(공천배제)된 예비후보들은 동남갑에서 노형욱 전 국토교통부 장관과 오경훈 이재명의 기본사회연구소 소장, 북구갑은 문상필·진선기 전 광주시의원, 북구을은 김세미가 디지털시대공감 이사장·조현환 광주전남정치개혁연대 공동대표 등이다.
오경훈 예비후보는 “정치 신인으로서 도덕성에 흠결이 없고 현역 의원보다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있는데다 정치 신인 가산점 등을 고려하면 시스템 공천상 3인 경선에 들어가지 못할 이유가 없다”면서 “이러면 정치 신인은 어떻게 당내 경선에 들어갈 수 있겠느냐, 기회조차 주지 않은 것은 당의 혁신에 반하는 것이라고 생각해 재심을 신청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노형욱 예비후보도 “즉시 재심 신청을 하고 2인 경선에서 제외된 이유를 들어봐야겠다”고 밝혔다.
반면, 조현환 예비후보는 “중앙당 결정을 수용하고 평범한 시민으로 돌아가 민주당 총선 승리를 위해 힘쓰겠다”고 컷오프에 승복했다.
김세미가 예비후보도 “캠프 회의 결과 (컷오프를) 당연히 받아들인다”면서도 “설 전까지는 아침 저녁 거리 인사는 계속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또한, 이날 1차 경선 지역에 광주지역 3곳 선거구만 포함된 배경과 컷오프 기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남의 경우 선거구 획정 여부가 아직 결정되지 않은 만큼 경선지역 발표가 늦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광주의 경우 일부 선거구가 제외되면서 각 예비후보 선거 캠프별로 각종 억측이 난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1차 경선 지역에 포함되지 않은 광주 동남을 선거구의 경우 8명의 예비후보가 난립하고 있고, 서구갑과 광산을도 각각 4명의 예비후보가 나선 상황이어서 경선 후보 선정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하지만, 광산갑 선거구가 이날 발표에서 제외된 것을 두고 지역 정치권은 의아해하고 있다. 현재 현역인 이용빈 의원과 박균택 당 대표 법률 특보 등 두 명의 예비후보가 공천 경쟁을 벌이고 있는 만큼 2인 경선 지역구로 발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공관위 측은 1차 경선 지역 선정에 특별한 기준은 없었고, 논의된 순서에 따른 결과와 경선에 전혀 문제가 없는 선거구부터 발표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앙당 관계자도 “보통 1, 2위 후보들과의 격차가 20∼30% 이상 큰 차이가 나거나 큰 결격 사유가 공관위에서 제기됐을 경우 컷오프되는 것이다”면서 “이날 발표된 광주지역 3곳의 1차 경선 지역의 경우 이런 기준과 요건이 맞았기 때문일 것이다”고 설명했다.
/최권일·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