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 ‘바둑테마파크’ 12년 만에 무산
2009년 문화관광부 관광지 지정
경제성·사업타당성 미흡 좌초
행정·예산 낭비, 재산권 피해 비판
경제성·사업타당성 미흡 좌초
행정·예산 낭비, 재산권 피해 비판
![]() 영암군청 |
영암군이 추진했던 ‘바둑테마파크 관광지’ 조성 사업이 관광지 지정 12년 만에 최종 무산됐다. 전남 17개 시·군 28개 관광지 중 지정이 취소된 관광지는 바둑테마파크가 유일하다. 치밀한 사업성·타당성 검토 없이 무리하게 추진하다 행정력과 예산을 낭비하고 사업 대상지 토지 소유자들의 재산권 행사를 제한하는 등 피해를 입혔다는 비판이 나온다.
24일 전남도에 따르면 영암군은 최근 영암군 영암읍 개신리 일대 50만4900㎡ 부지에 600억원을 투입해 조성하려던 ‘바둑테마파크’에 대한 관광지 지정을 취소해줄 것을 전남도에 신청했다.
영암군은 애초 2007년부터 2012년까지 국·도비와 군비 등 400억원과 민간자본 200억원을 들여 바둑테마파크를 조성키로 하고 관련 사업을 추진해 지난 2009년 해당 부지 일대가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관광지로 지정됐었다.
영암군은 당시 고대 일본바둑의 전수자인 왕인 박사와 한국바둑의 기성 조훈현 9단의 고향인 점 등을 연계, 바둑테마파크 조성에 나선 바 있다.
영암군은 테마파크에 바둑 관련 각종 자료를 전시하고 바둑경기장과 연수원 등을 짓고 바둑판, 바둑알 공장 등도 조성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경제성·사업타당성 등이 미흡해 전남도의 관광지 조성계획 승인을 받지 못했고 결국 사업 좌초로 이어졌다.
전남지역의 경우 17개 지역에 28개 관광지가 지정된 상태로, 관광지로 지정된 이후 조성계획 승인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취소된 곳은 영암이 유일하다. 일각에서는 기존 관광지 중에도 새로운 관광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외면받고 있는 노후 관광지가 적지 않다는 점에서 지정 취지에 맞는 재생사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영암군 관계자는 “바둑테마파크 조성계획이 무산됨에 따라 관광지 지정 취소 이후 관광지 지정되기 전 용도지역으로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영암군은 애초 2007년부터 2012년까지 국·도비와 군비 등 400억원과 민간자본 200억원을 들여 바둑테마파크를 조성키로 하고 관련 사업을 추진해 지난 2009년 해당 부지 일대가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관광지로 지정됐었다.
영암군은 당시 고대 일본바둑의 전수자인 왕인 박사와 한국바둑의 기성 조훈현 9단의 고향인 점 등을 연계, 바둑테마파크 조성에 나선 바 있다.
전남지역의 경우 17개 지역에 28개 관광지가 지정된 상태로, 관광지로 지정된 이후 조성계획 승인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취소된 곳은 영암이 유일하다. 일각에서는 기존 관광지 중에도 새로운 관광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외면받고 있는 노후 관광지가 적지 않다는 점에서 지정 취지에 맞는 재생사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영암군 관계자는 “바둑테마파크 조성계획이 무산됨에 따라 관광지 지정 취소 이후 관광지 지정되기 전 용도지역으로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