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난 여수어민들 “바다 생태계 파괴 해상풍력 안돼”
“어업 질서 교란·난개발 조장”
어선 600여척 해상 시위
관련 부처 등에 성명서 전달
어선 600여척 해상 시위
관련 부처 등에 성명서 전달
![]() 8일 오전 여수시 국동항 인근 해상에서 어선 600여척이 해상퍼레이드 시위를 펼치고 있다. 어민과 어민단체는 여수해역에서 해상풍력 추진을 결사 반대한다는 내용의 총궐기대회를 가진뒤 어선을 몰고 해상으로 집결했다. <여수 해상풍력발전대책위원회 제공> |
여수지역 어민들과 수산업 관련 단체들이 삼산면 일대에 추진하는 해상 풍력발전 사업을 반대하고 나섰다.
여수수산인협회와 여수어촌계장협의회, 연근해어업인 단체로 구성된 여수 해상풍력발전 대책위원회는 8일 오전 여수시 국동항 수변공원에서 어업인 총궐기 대회를 갖고 해상 풍력 발전 추진에 대한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이들은 궐기대회 후 어선 600여 척을 동원해 한 시간여 동안 해상을 오가는 퍼레이드 시위를 펼쳤다.
어민들은 민간발전 사업자들이 정부의 재생에너지 육성정책에 편승해 여수의 황금어장에 버젓이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바다 생태계를 파괴할 뿐만 아니라 어업 질서를 교란하고 여수 앞바다의 난개발을 조장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날 총궐기대회는 육상과 해상으로 나눠 진행됐다. 어민 150여 명은 국동항 수변공원에서 성명서 낭독, 연대 발언과 구호 제창 등 총궐기대회를 가졌다.
이어 해상에 대기 중이던 600여 척의 어선이 뱃고동 소리와 함께 일제히 바다위를 질주하면서 시위를 벌였다.
앞서 여수시 연·근해 어민들의 주 조업 장소이면서 삶의 터전인 남면, 화정면, 삼산면 등 해역에서 13곳에 걸쳐 원자력발전기 5기에 육박하는 4712M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가 민간주도로 추진되고 있다. 인근에는 거문도와 초도 등 여수의 섬들이 있으며, 어선뿐만 아니라 여객선 항해가 빈번해 위험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어민들은 좁은 여수 바다에 대규모 해상풍력단지가 10여 개 조성되면 조업 구역을 잃게 되고, 발전기 설치공사와 송전케이블 매설 과정에서 해저면 교란, 부유사 발생 등 저서생물 서식지 파괴로 수산업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또 방오도료, 윤활유, 연료, 연마재 등 화학물질 유출로 생물학적 피해도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했다.
이와 함께 발전사업허가 및 공유수면 점·사용허가 등 인허가 과정에 실제 해상풍력 사업에 영향을 받는 실질적 이해당사자인 어업인이 배제됐다고 주장했다.
수 십㎞ 떨어진 섬 지역 주민들의 동의서만으로 수용성을 확인하고 사업이 진행되는 행태가 여수 어촌사회 갈등의 주범이 되고 있다는 비난성 여론도 빠지지 않고 있다.
여수 해상풍력발전대책위는 이번 어업인 총궐기대회를 계기로 산업부·해수부 등 관련 부처 및 전라남도, 여수시 등에 어업인 성명서를 전달하고 관련 제도 개선 방안을 요구할 계획이다.
대책위 관계자는 “여수 어민들은 수십 년을 이어온 황금어장이 일방적으로 침탈되는 지금의 상황에 분노하며 해상풍력 업자들의 행태를 더이상 용납할 수 없어 총궐기대회를 열었다”면서 “우리나라 수산업의 중심인 전남 바다를 지키기 위해 어민들은 목숨을 걸 각오다”고 말했다.
/여수=김창화 기자 chkim@kwangju.co.kr
여수수산인협회와 여수어촌계장협의회, 연근해어업인 단체로 구성된 여수 해상풍력발전 대책위원회는 8일 오전 여수시 국동항 수변공원에서 어업인 총궐기 대회를 갖고 해상 풍력 발전 추진에 대한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어민들은 민간발전 사업자들이 정부의 재생에너지 육성정책에 편승해 여수의 황금어장에 버젓이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바다 생태계를 파괴할 뿐만 아니라 어업 질서를 교란하고 여수 앞바다의 난개발을 조장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날 총궐기대회는 육상과 해상으로 나눠 진행됐다. 어민 150여 명은 국동항 수변공원에서 성명서 낭독, 연대 발언과 구호 제창 등 총궐기대회를 가졌다.
이어 해상에 대기 중이던 600여 척의 어선이 뱃고동 소리와 함께 일제히 바다위를 질주하면서 시위를 벌였다.
어민들은 좁은 여수 바다에 대규모 해상풍력단지가 10여 개 조성되면 조업 구역을 잃게 되고, 발전기 설치공사와 송전케이블 매설 과정에서 해저면 교란, 부유사 발생 등 저서생물 서식지 파괴로 수산업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또 방오도료, 윤활유, 연료, 연마재 등 화학물질 유출로 생물학적 피해도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했다.
이와 함께 발전사업허가 및 공유수면 점·사용허가 등 인허가 과정에 실제 해상풍력 사업에 영향을 받는 실질적 이해당사자인 어업인이 배제됐다고 주장했다.
수 십㎞ 떨어진 섬 지역 주민들의 동의서만으로 수용성을 확인하고 사업이 진행되는 행태가 여수 어촌사회 갈등의 주범이 되고 있다는 비난성 여론도 빠지지 않고 있다.
여수 해상풍력발전대책위는 이번 어업인 총궐기대회를 계기로 산업부·해수부 등 관련 부처 및 전라남도, 여수시 등에 어업인 성명서를 전달하고 관련 제도 개선 방안을 요구할 계획이다.
대책위 관계자는 “여수 어민들은 수십 년을 이어온 황금어장이 일방적으로 침탈되는 지금의 상황에 분노하며 해상풍력 업자들의 행태를 더이상 용납할 수 없어 총궐기대회를 열었다”면서 “우리나라 수산업의 중심인 전남 바다를 지키기 위해 어민들은 목숨을 걸 각오다”고 말했다.
/여수=김창화 기자 ch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