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박물관·미술관 주간’ 사회적 연대, 치유와 회복의 ‘열린 뮤지엄’
  전체메뉴
‘2021 박물관·미술관 주간’ 사회적 연대, 치유와 회복의 ‘열린 뮤지엄’
14~24일 행사, 온·오프라인 진행
광주 드영미술관 ‘예술백신:토닥이자’
담양 보임쉔 ‘공예로 잇다·있다’
2021년 05월 14일(금) 03:30
국제박물관협의회(ICOM)는 1977년 총회에서 박물관의 사회·문화적 역할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매년 5월 18일을 ‘세계 박물관의 날’로 지정했다. 1992년부터는 ICOM이 매년 한 가지 주제를 선정하면 전 세계 박물관이 해당 주제를 중점으로 다양한 행사를 펼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2012년부터 매년 ‘박물관·미술관 주간’을 개최하고 있다.

‘2021 박물관·미술관 주간’ 행사가 ‘박물관의 미래-회복과 재구상’을 주제로 14일부터 오는 24일까지 계속된다. 올해 행사는 박물관 콘텐츠를 디지털 기술 등을 활용, 누구에게나 물리적 공간의 제약 없이 관람할 수 있도록 새로운 문화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게 특징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해 진행된다.

사회적 연대, 치유와 회복 등 ‘박물관의 미래-회복과 재구상’ 주제 연계 프로그램은 공모를 통해 선정된 전국 21개 뮤지엄에서 진행된다. 광주에서는 드영미술관, 전남에서는 담양 공예미술관 보임쉔이 선정됐다.

무등산 자락 드영미술관(관장 김도영)은 ‘예술백신:토닥이자!!’ 프로그램이 선정됐다. 오는 6월13일까지 열리는 기획전 ‘무의식의 그림자’ 와 연계한 체험 프로그램으로 후각, 청각 등 인간의 다양한 감각을 작품과 연결, 몸과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기획이다.

드영미술관은 ‘무의식의 그림자전’과 연계한 ‘예술백신-토닥이자’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무의식의 그림자전’은 지난 2018년 개관 후 지속적으로 청년작가 전시를 열고 있는 드영미술관이 기획한 8번째 전시로 모두 5명의 작가를 초청했다.

초대 작가는 김은경·김자이·문선희· 윤연우·정덕용으로 인간 의식 아래 잠재하는 무의식에 주목하며 사진, 직조(태피스트리), 영상, 설치 등 다양한 시각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체험 프로그램은 다섯 명 작가의 작업을 차용해 ‘향기가 말하다’(힐링미스트 만들기), ‘치유의 숲’(테라리움 만들기), ‘배틀? 베틀!’(직조 티코스터 만들기), ‘우아한 휴식’(작가와의 대화 & 계란 화분 만들기), ‘마음의 소리에 집중해봐’(아로마 명상하기) 등으로 진행된다.

공휘 작 ‘누구의 자식도 아닌 누구’
공예미술관 보임쉔(관장 김현정)은 공예 관련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접목한 ‘공예로 잇다·있다’를 진행한다. ‘공예명인·청년작가’전(30일까지)에서는 김기현 작가의 달항아리와 담양군 공예명인 김미선 작가, 청년 작가 등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최근 코로나로 가정에서 쉽게 할 수 있는 DIY공예가 관심을 모음에 따라 전문 강사와 함께하는 체험프로그램과 담양의 특산품인 대나무와 공예를 연계한 공예명인 시연 행사도 진행한다. 체험프로그램은 사전신청을 하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또 ‘뮤지엄꾹’은 전국 103개 뮤지엄에서 진행되는 스탬프 투어로, 미션을 완수하면 기념품을 받을 수 있다. 광주에서는 국윤미술관, 드영미술관,무등현대미술관,우제길미술관, 은암미술관, 주안미술관이 참여하며 전남에서는 공예미술관보임쉔, 담양우표박물관, 땅끝해양자연사박물관, 세계조개박물관, 와보랑께박물관, 저녁노을미술관이 함께한다.

2021박물관·미술관 주간 홈페이지를 통해 집에서도 전국 박물관·미술관을 여행할 수 있는 ‘뮤궁뮤진’은 전국의 103개 미술관을 만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매일 각 미술관의 특별한 소장품을 만나는 ‘자랑’, 각 뮤지엄을 기념하고 추억할 수 있는 ‘굿즈’, 공개되지 않은 비하인드 스토리를 풀어놓는 ‘비밀’, 각 뮤지엄의 특별한 이벤트와 행사를 만나는 ‘난장’, 멋진 건축물과 숨은 장소를 공개하는 ‘공간’, 뮤지엄과 함께하는 꽃과 나무를 만나는 ‘자연’ 등을 소재로 다양한 게시물을 만날 수 있다.

/김미은 기자 mekim@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