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한 부분이 된 유튜브
![]() [이지우 동신대 식품영양학과 2학년] |
‘유튜브(YouTube)의 시대’라고 표현할 만큼 유튜브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시작된 후로 특히 그 비중은 더 커졌다.
대학생들의 경우 1학기 전체가 대부분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되면서 집에 있는 시간이 크게 늘었다.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아쉬움과 따분함을 해소해 줄 무언가가 필요한 상황에서 유튜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유튜브의 가장 큰 장점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자신이 보고 싶거나 얻고 싶은 정보를 간단한 검색만으로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좋아하는 채널은 구독을 할 수 있고, 댓글을 남기며 실시간 소통도 할 수 있다.
유튜버는 구독자 수와 영상 시청 시간 등을 합산해 일정 수준을 넘게 되면 수익을 올릴 수 있는데 구독자 수가 10만 명이 넘으면 실버 버튼, 100만 명이 넘으면 골드 버튼을 받게 된다. 명예와 돈을 한꺼번에 쥘 수 있는 구조다. 이 때문에 초등학생 장래 희망 3위에 ‘유튜버’가 오르기도 했다.
초등학생뿐인가. 연예인들은 물론 유치원생부터 70대 노인들까지 개인 채널에 영상을 올리면서 유튜브 대전(大戰)에 참전하고 있다. 그만큼 콘텐츠가 다양해서일까? 페트병 콜라나 생수 뚜껑이 헛돌아 열리지 않을 때, 변기가 막혔을 때 등 일상생활에서 흔히 일어나는 문제를 이제는 유튜브 검색만으로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최근 유튜브는 실시간 방송을 통해 더욱 더 진화하고 있다. 내가 채팅창에 적은 글을 유튜버가 소개하고, 그 내용이 하나의 콘텐츠가 되기도 한다. 유튜버와 독자가 실시간으로 함께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또한 유튜브는 진입 장벽이 높지 않다. 스마트폰 하나 또는 캠이 달린 컴퓨터만 있으면 누구나 유튜버가 될 수 있다.
나 역시 유튜브를 자주 보면서 개인 채널을 운영하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다. 스타가 되고 돈을 많이 벌고 싶기 때문이 아니다. 유튜브가 더욱 대중화될테고 넋 놓고 보고만 있다가는 왠지 나만 뒤쳐질 것 같다는 조급함이 생겨 버렸다.
그래서 뛰어든 게 동신대학교 포켓마스터 4기 활동이다. 학교나 학과와 관련된 홍보 동영상을 만들어 유튜브와 학교 홈페이지에 올리기 위해, 그리고 너무 딱딱하지 않은 영상을 만들기 위해 요즘 친구들과 열심히 머리를 굴리고 있다.
건물 소개, 교과목, 상장, 교수님 소개나 인터뷰 등의 형식적이고 따분한 틀을 벗어나, 내가 다니는 동신대 식품영양학과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해 실습 재료를 준비하고 조리실에서 도시락을 만들어 먹는 영상을 만들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영상을 기획하고 편집해 완성하기까지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할 수 없는 일도 아니었다.
실제 유뷰브를 만들어보니 기획과 편집만큼 중요한 게 제목과 썸네일이었다. 썸네일은 동영상의 내용 중 가장 흥미 있는 부분이나 주제와 적합한 부분을 영상 제목 옆 작은 화면을 통해 사진 형식으로 미리 보여주는 장치다. 여러 개의 비슷한 내용의 영상 중에 사람들은 제목과 썸네일을 보고 더 호기심을 자극하는 영상을 선택해 클릭하기 때문에 그만큼 중요하다. 이처럼 유튜브를 찾아 보던 입장에서, 유튜브를 만들어보면서 생각의 폭이 조금 더 넓어지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누군가에게 보여주고 싶은 아이디어가 있거나 간단한 영상 편집을 할 수 있다면 고민하지 말고 유튜브를 시작해 보자. 혼자 막연히 도전하려면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으니 친구들과 함께 해 보는 걸 추천한다. 끼가 넘치는 친구와 컴퓨터 활용, 영상 편집 등에 소질 있는 친구가 뭉친다면 좋은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유튜브는 이제 우리의 일상이 돼 버렸다. 개인 유튜브를 운영하는 것이 하나의 스펙이 되는 시대가 올지도 모른다.
대학생들의 경우 1학기 전체가 대부분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되면서 집에 있는 시간이 크게 늘었다.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아쉬움과 따분함을 해소해 줄 무언가가 필요한 상황에서 유튜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유튜버는 구독자 수와 영상 시청 시간 등을 합산해 일정 수준을 넘게 되면 수익을 올릴 수 있는데 구독자 수가 10만 명이 넘으면 실버 버튼, 100만 명이 넘으면 골드 버튼을 받게 된다. 명예와 돈을 한꺼번에 쥘 수 있는 구조다. 이 때문에 초등학생 장래 희망 3위에 ‘유튜버’가 오르기도 했다.
최근 유튜브는 실시간 방송을 통해 더욱 더 진화하고 있다. 내가 채팅창에 적은 글을 유튜버가 소개하고, 그 내용이 하나의 콘텐츠가 되기도 한다. 유튜버와 독자가 실시간으로 함께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또한 유튜브는 진입 장벽이 높지 않다. 스마트폰 하나 또는 캠이 달린 컴퓨터만 있으면 누구나 유튜버가 될 수 있다.
나 역시 유튜브를 자주 보면서 개인 채널을 운영하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다. 스타가 되고 돈을 많이 벌고 싶기 때문이 아니다. 유튜브가 더욱 대중화될테고 넋 놓고 보고만 있다가는 왠지 나만 뒤쳐질 것 같다는 조급함이 생겨 버렸다.
그래서 뛰어든 게 동신대학교 포켓마스터 4기 활동이다. 학교나 학과와 관련된 홍보 동영상을 만들어 유튜브와 학교 홈페이지에 올리기 위해, 그리고 너무 딱딱하지 않은 영상을 만들기 위해 요즘 친구들과 열심히 머리를 굴리고 있다.
건물 소개, 교과목, 상장, 교수님 소개나 인터뷰 등의 형식적이고 따분한 틀을 벗어나, 내가 다니는 동신대 식품영양학과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해 실습 재료를 준비하고 조리실에서 도시락을 만들어 먹는 영상을 만들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영상을 기획하고 편집해 완성하기까지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할 수 없는 일도 아니었다.
실제 유뷰브를 만들어보니 기획과 편집만큼 중요한 게 제목과 썸네일이었다. 썸네일은 동영상의 내용 중 가장 흥미 있는 부분이나 주제와 적합한 부분을 영상 제목 옆 작은 화면을 통해 사진 형식으로 미리 보여주는 장치다. 여러 개의 비슷한 내용의 영상 중에 사람들은 제목과 썸네일을 보고 더 호기심을 자극하는 영상을 선택해 클릭하기 때문에 그만큼 중요하다. 이처럼 유튜브를 찾아 보던 입장에서, 유튜브를 만들어보면서 생각의 폭이 조금 더 넓어지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누군가에게 보여주고 싶은 아이디어가 있거나 간단한 영상 편집을 할 수 있다면 고민하지 말고 유튜브를 시작해 보자. 혼자 막연히 도전하려면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으니 친구들과 함께 해 보는 걸 추천한다. 끼가 넘치는 친구와 컴퓨터 활용, 영상 편집 등에 소질 있는 친구가 뭉친다면 좋은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유튜브는 이제 우리의 일상이 돼 버렸다. 개인 유튜브를 운영하는 것이 하나의 스펙이 되는 시대가 올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