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우렁이 농법 혼선 … 농민들만 골탕
왕우렁이가 자연 생태계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정부 발표로 농민들이 혼선을 빚고 있어 친환경 농업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 “왕우렁이가 외래종이고 월동을 하는 등 번식력이 왕성해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어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왕우렁이가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될 경우 친환경 농법으로 농사에 활용하는 것은 물론 방사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이에대해 농민들은 “왕우렁이가 생태계를 파괴한다는 구체적인 조사도 없이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만으로 방사를 막는 것은 성급한 처사”라며 반발하고 있다.
왕우렁이 농법은 간편한데다 비용도 저렴해 나주시 전체 친환경 재배면적의 90%를 차지할 정도로 농민들이 선호하고 있어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될 경우 큰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3천㎡의 논에 왕우렁이 농법으로 농사를 지을 경우 9만7천500원의 비용이 드는데 반해 ▲쌀겨농법 12만원 ▲오리농법 30만원 ▲종이멀칭농법 47만원이 소요된다.
이모(68·나주시 다시면)씨는 “적은 비용으로 잡초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지난해부터 왕우렁이 농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제와서 생태계를 파괴한다고 하니 판단이 안선다” 며 “지금이 왕우렁 방사시기여서 정부의 명확한 방침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때문에 친환경농업단체 등은 환경부에 왕우렁이에 대한 공동연구를 실시하자고 제의하는 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나주시 관계자는 “왕우렁 농법이 농가에 널리 보급된 시점에서 환경부가 제동을 걸어 난감한 입장”이라며 “비용과 일손이 많이 들어 쌀겨를 사용하는 등 다른 친환경 농법으로 전환하기에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나주=최승렬기자 srchoi@
환경부는 지난해 “왕우렁이가 외래종이고 월동을 하는 등 번식력이 왕성해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어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대해 농민들은 “왕우렁이가 생태계를 파괴한다는 구체적인 조사도 없이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만으로 방사를 막는 것은 성급한 처사”라며 반발하고 있다.
왕우렁이 농법은 간편한데다 비용도 저렴해 나주시 전체 친환경 재배면적의 90%를 차지할 정도로 농민들이 선호하고 있어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될 경우 큰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3천㎡의 논에 왕우렁이 농법으로 농사를 지을 경우 9만7천500원의 비용이 드는데 반해 ▲쌀겨농법 12만원 ▲오리농법 30만원 ▲종이멀칭농법 47만원이 소요된다.
이때문에 친환경농업단체 등은 환경부에 왕우렁이에 대한 공동연구를 실시하자고 제의하는 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나주시 관계자는 “왕우렁 농법이 농가에 널리 보급된 시점에서 환경부가 제동을 걸어 난감한 입장”이라며 “비용과 일손이 많이 들어 쌀겨를 사용하는 등 다른 친환경 농법으로 전환하기에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나주=최승렬기자 sr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