冬장군 어디갔나 … 사라진 겨울특수
광주·전남 기온 1∼4도 상승 … 눈·한파 실종에 적설량 ‘0’
스키장 찬바람·골프장 신바람 …유통업계 의류 매출도 급감
스키장 찬바람·골프장 신바람 …유통업계 의류 매출도 급감
![]() 14일 광주시청 문화광장 야외스케이트장에서 시민들이 스케이트를 타고 있다. 광주지방기상청은 당분간 눈과 큰 추위 없는 날씨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보했다. /최현배 기자choi@kwangju.co.kr |
겨울이 사라졌다. 예년에 비해 눈도 없고, 평균 기온이 1∼4도 이상이 높아 사실상 겨울을 느낄 수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난방을 위한 도시가스 사용도 줄고, 유통업체의 겨울 의류 매출도 급감하고 있다. 눈을 기다려야 하는 스키장은 스키어들이 줄면서 울상인 반면 겨울철 비수기였던 골프장은 때아닌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다.
특히 전남지역 농업 분야도 아열대 작물 재배가 크게 늘어나고 있고, 어업과 양식 환경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14일 광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과 1월 평균 기온이 예년에 비해 1~4도 이상 높은 기온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 7일 광주의 최고기온은 17.7도로 1월 기준으로, 1939년 관측 개시 이래 두 번째로 기온이 높았다. 이날 최저기온 또한 8.7도로 상당히 높은 기온을 기록했다.
이는 광주의 평년(1981~2010년) 최저기온(영하 3도)보다 11.7도 높고, 최고기온(5.6도)보다도 12.1도 높았다.
같은 날 완도의 최고기온은 19.3도, 장흥 19.2도, 영광 16.8도, 해남 18.5도를 기록하는 등 초봄 날씨를 보이면서 기상 관측이래 1월 중 최고 기온을 경신했다.
올 겨울, 광주·전남에서 눈 구경도 힘들었다. 지금까지 적설량을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 광주지역에서는 지난달 3일 진눈깨비 형태로 첫 눈이 내리는 등 모두 4차례의 눈이 내렸지만 적설량을 기록하지 못했다.
당분간 눈 소식도 없을 전망이다. 하지만, 이달 중순께부터 기온이 떨어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눈 구경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한 겨울 속 포근한 기온이 이어지면서 업계 간 희비가 교차하고 있다.
난방을 위한 도시가스 사용량은 전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하고, 유통업계의 겨울 아웃도어 의류상품 매출은 역신장을 기록했다.
반면, 골프의류 및 골프용품 매출은 늘어나는 등 상품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골프 부킹사이트 XGOLF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골프장 예약 건수는 2만 7183건으로 전년 동기(2만993건)보다 약 30%(6190건) 증가했다.
특히 겨울철 대표 간식으로 꼽히는 호빵 매출은 제자리 걸음인 반면 아이스크림 매출이 크게 늘어난 것도 이례적이다.
이같은 이상 기후 속에 전남의 아열대 작물 재배 종과 면적이 늘어나고 있고, 연안 해역의 어업·양식 환경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광주기상청 관계자는 “서해상 저기압과 일본 남쪽해상으로 고기압이 위치하면서 따뜻한 강한 남서류(따뜻한 수증기)가 유입돼 이례적으로 평년보다 6~13도 높은 기온 분포를 보였다”면서 “당분간 눈 없고 큰 추위 없는 겨울이 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김한영 기자 young@kwangju.co.kr
이 때문에 난방을 위한 도시가스 사용도 줄고, 유통업체의 겨울 의류 매출도 급감하고 있다. 눈을 기다려야 하는 스키장은 스키어들이 줄면서 울상인 반면 겨울철 비수기였던 골프장은 때아닌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다.
14일 광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과 1월 평균 기온이 예년에 비해 1~4도 이상 높은 기온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 7일 광주의 최고기온은 17.7도로 1월 기준으로, 1939년 관측 개시 이래 두 번째로 기온이 높았다. 이날 최저기온 또한 8.7도로 상당히 높은 기온을 기록했다.
이는 광주의 평년(1981~2010년) 최저기온(영하 3도)보다 11.7도 높고, 최고기온(5.6도)보다도 12.1도 높았다.
같은 날 완도의 최고기온은 19.3도, 장흥 19.2도, 영광 16.8도, 해남 18.5도를 기록하는 등 초봄 날씨를 보이면서 기상 관측이래 1월 중 최고 기온을 경신했다.
당분간 눈 소식도 없을 전망이다. 하지만, 이달 중순께부터 기온이 떨어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눈 구경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한 겨울 속 포근한 기온이 이어지면서 업계 간 희비가 교차하고 있다.
난방을 위한 도시가스 사용량은 전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하고, 유통업계의 겨울 아웃도어 의류상품 매출은 역신장을 기록했다.
반면, 골프의류 및 골프용품 매출은 늘어나는 등 상품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골프 부킹사이트 XGOLF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골프장 예약 건수는 2만 7183건으로 전년 동기(2만993건)보다 약 30%(6190건) 증가했다.
특히 겨울철 대표 간식으로 꼽히는 호빵 매출은 제자리 걸음인 반면 아이스크림 매출이 크게 늘어난 것도 이례적이다.
이같은 이상 기후 속에 전남의 아열대 작물 재배 종과 면적이 늘어나고 있고, 연안 해역의 어업·양식 환경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광주기상청 관계자는 “서해상 저기압과 일본 남쪽해상으로 고기압이 위치하면서 따뜻한 강한 남서류(따뜻한 수증기)가 유입돼 이례적으로 평년보다 6~13도 높은 기온 분포를 보였다”면서 “당분간 눈 없고 큰 추위 없는 겨울이 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김한영 기자 you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