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 수질개선 위해 광주하수처리장 증설 시급”
11월~2월 갈수기 영산강 유량 59%가 광주하수처리수
영산강유역환경청 직원 1명이 1만개 사업장 점검 단속
영산강유역환경청 직원 1명이 1만개 사업장 점검 단속
10일 열린 영산강유역환경청 국정감사에서는 영산강 수질 악화의 주된 원인이 광주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직원 1명이 1만개에 달하는 사업장을 점검하고 단속해야 하는 영산강유역환경청 인력부족 실태도 적나라하게 공개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동철(바른미래당) 의원은 이날 국감에서 “11월∼2월 갈수기 영산강 유량의 59%가 광주시 하수처리수”라며 “영산강 수질 개선을 위해 광주 하수처리장 증설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2013년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4대강 수계별 연평균 수질 현황을 살펴보면, 1ℓ당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은 한강(1.4㎎)의 3배 이상인 4.6㎎으로 4대강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해 영산강 수질 상태가 가장 나쁘다고 분석했다.
영산강은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도 1ℓ당 8.9㎎으로 한강(3.9㎎)보다 2배 정도 높고, 녹조 유발물질인 총인(T-P) 수치도 0.14㎎으로 한강(0.04㎎)의 3배 수준을 보였다.
김 의원은 지난해 영산강 본류인 승천보 유량 대비 하수처리수 비율 자료를 토대로 광주시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영산강 수질 악화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김 의원은 “지난해동안 승촌보의 평균 유량(초당 30.4㎥) 중 하수처리수의 비율이 4분의 1 수준인 7.4㎥를 차지 했다”면서 “특히 지난해 2월에는 영산강 물의 70%를 광주시 하수처리수가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광주시 하수처리장의 처리 용량이 하루 60만t이지만 이미 가동률은 103%로 과부하가 걸려있고, 30년이난 된 노후 시설로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또한 올 봄 여수산단 LG화학, 한화케미칼 등 대기업들이 측정대행업체와 짜고 미세먼지 원인물질 수치를 조작한 사건과 관련해 “국민 건강에 직접 위해를 가하는 심각한 범죄이므로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영산강유역환경청에 끝까지 수사를 잘 마무리하라는 주문도 했다.
직원 1명이 1만개 사업장을 단속하고 점검해야하는 영산강유역환경청 인력 실태를 지적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지적도 나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용득(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점검 대상인 7만여개의 사업장을 7명이 관리했다”며 “인력 부족은 관리 사각지대를 만들고, 환경 범죄와 오염피해사례가 지속적 발생하게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동철(바른미래당) 의원은 이날 국감에서 “11월∼2월 갈수기 영산강 유량의 59%가 광주시 하수처리수”라며 “영산강 수질 개선을 위해 광주 하수처리장 증설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영산강은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도 1ℓ당 8.9㎎으로 한강(3.9㎎)보다 2배 정도 높고, 녹조 유발물질인 총인(T-P) 수치도 0.14㎎으로 한강(0.04㎎)의 3배 수준을 보였다.
김 의원은 “지난해동안 승촌보의 평균 유량(초당 30.4㎥) 중 하수처리수의 비율이 4분의 1 수준인 7.4㎥를 차지 했다”면서 “특히 지난해 2월에는 영산강 물의 70%를 광주시 하수처리수가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광주시 하수처리장의 처리 용량이 하루 60만t이지만 이미 가동률은 103%로 과부하가 걸려있고, 30년이난 된 노후 시설로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또한 올 봄 여수산단 LG화학, 한화케미칼 등 대기업들이 측정대행업체와 짜고 미세먼지 원인물질 수치를 조작한 사건과 관련해 “국민 건강에 직접 위해를 가하는 심각한 범죄이므로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영산강유역환경청에 끝까지 수사를 잘 마무리하라는 주문도 했다.
직원 1명이 1만개 사업장을 단속하고 점검해야하는 영산강유역환경청 인력 실태를 지적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지적도 나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용득(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점검 대상인 7만여개의 사업장을 7명이 관리했다”며 “인력 부족은 관리 사각지대를 만들고, 환경 범죄와 오염피해사례가 지속적 발생하게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