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내년 지방선거 당원 주권 확대 … 경선 판도 변화 예고
현행 투표 비율 50%서 5~10% 상향 논의…조직력 앞세운 후보에 유리
컷오프 최소화, 여성·청년 전략 공천도 변수…내년 2월말부터 경선 돌입
컷오프 최소화, 여성·청년 전략 공천도 변수…내년 2월말부터 경선 돌입
![]() 김민석 국무총리가 12일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에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 김병기 원내대표와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6·3 지방선거 공천 룰 정비에 돌입하면서 지역 정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민주당 텃밭 호남에서 당내 경선은 본선보다 치열하고, 공천 룰에 따라 후보간 유불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특히 정청래 대표가 ‘당원 주권시대’를 공헌하면서 내년 지방선거에서 당원 투표 비율을 소폭 높일 것으로 보여 당내 경선 판도에도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현재 민주당 당내 경선은 당원투표 50%와 일반여론조사 50%로 진행되지만 당원투표 비율을 5~10%를 높이면 권리당원을 많이 확보한 후보자가 더욱 유리해질 수 있다. 또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여성·청년 전략 공천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어 후보들의 눈치 싸움도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12일 민주당에 따르면 이번 달 말까지 후보 자격에 대한 심사 규정을 정비하고 공천 룰 등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앞서 정청래 당 대표가 전당대회 과정에 호남을 찾아 컷오프(공천 배제) 최소화와 당원 참여 확대를 약속한 만큼, 민주당 공천 룰에도 이 같은 원칙이 적용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 한 관계자는 “당원 참여를 늘리는 방안이 논의 되고 있으며 공천 심사 과정에서도 당원의 선택이 가장 중요해 질 것”이라면서 “무조건적인 컷오프를 줄이는 대신 무적격자를 솎아낼 수 있는 대안을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당 내에서는 당원 투표 비율을 현재 50%에서 소폭 늘리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앞서 민주당은 대의원의 투표비율을 줄이면서 당원에게 선택권을 늘렸고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권리당원 투표 비율을 5~10%가량 늘리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앞서 민주당은 8·2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 투표를 55% 반영했으며 사실상 국회직인 원내대표 선출 시에도 권리당원 투표를 20% 반영하는 등 각종 선거에서 권리당원 투표 비율을 높이고 있다.
이처럼 당원 투표비율이 상승하면 공천 결과에도 큰 변화를 줄 수 있다. 과거 민주당 공천 과정에 일반여론조사의 응답률이 낮아 권리당원의 조직적 투표를 이끌어낸 후보가 유리했던 만큼, 권리당원 투표 비율이 커지면 조직력을 앞세운 후보군이 경선에서 더욱 유리해 질수도 있다.
정 대표가 컷오프 최소화를 발표해 경선 과정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또 최근 광주·전남지역 기초단체장 일부를 청년과 여성에게 우선 공천하는 방안도 당내에서 심도 깊게 논의됐고 일부 전략공천하는 안도 제안됐다.
민주당은 오는 12월 중순께 선출직 평가위원회를 열어 현 광역단체장 등에 대한 평가를 시작하고, 내년 1월에는 중앙당 예비 후보자 자격심사위원회를 설치하게 된다. 이후 선거를 100일 앞둔 2월 말에는 중앙당·시도당 공천관리위원회와 선거관리위원회를 각각 설치해 경선을 치른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민주당 텃밭 호남에서 당내 경선은 본선보다 치열하고, 공천 룰에 따라 후보간 유불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특히 정청래 대표가 ‘당원 주권시대’를 공헌하면서 내년 지방선거에서 당원 투표 비율을 소폭 높일 것으로 보여 당내 경선 판도에도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12일 민주당에 따르면 이번 달 말까지 후보 자격에 대한 심사 규정을 정비하고 공천 룰 등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앞서 정청래 당 대표가 전당대회 과정에 호남을 찾아 컷오프(공천 배제) 최소화와 당원 참여 확대를 약속한 만큼, 민주당 공천 룰에도 이 같은 원칙이 적용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재 당 내에서는 당원 투표 비율을 현재 50%에서 소폭 늘리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앞서 민주당은 대의원의 투표비율을 줄이면서 당원에게 선택권을 늘렸고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권리당원 투표 비율을 5~10%가량 늘리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앞서 민주당은 8·2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 투표를 55% 반영했으며 사실상 국회직인 원내대표 선출 시에도 권리당원 투표를 20% 반영하는 등 각종 선거에서 권리당원 투표 비율을 높이고 있다.
이처럼 당원 투표비율이 상승하면 공천 결과에도 큰 변화를 줄 수 있다. 과거 민주당 공천 과정에 일반여론조사의 응답률이 낮아 권리당원의 조직적 투표를 이끌어낸 후보가 유리했던 만큼, 권리당원 투표 비율이 커지면 조직력을 앞세운 후보군이 경선에서 더욱 유리해 질수도 있다.
정 대표가 컷오프 최소화를 발표해 경선 과정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또 최근 광주·전남지역 기초단체장 일부를 청년과 여성에게 우선 공천하는 방안도 당내에서 심도 깊게 논의됐고 일부 전략공천하는 안도 제안됐다.
민주당은 오는 12월 중순께 선출직 평가위원회를 열어 현 광역단체장 등에 대한 평가를 시작하고, 내년 1월에는 중앙당 예비 후보자 자격심사위원회를 설치하게 된다. 이후 선거를 100일 앞둔 2월 말에는 중앙당·시도당 공천관리위원회와 선거관리위원회를 각각 설치해 경선을 치른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