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의 극장, 한 달의 영화제”
  전체메뉴
“90년의 극장, 한 달의 영화제”
‘개관 90주년 광주극장 영화제’ 17일부터 11월 16일까지
11월 8일 봉준호 감독 ‘바톤 핑크’ 시네토크도
2025년 10월 12일(일) 19:00
‘개관 90주년 광주극장 영화제’가 오는 17일부터 11월 16일까지 한달간 펼쳐진다. 개막작인 김동호 감독의 다큐멘터리 ‘미스터김, 영화관에 가다’ 스틸컷.
봉준호 감독의 ‘마더(흑백판)’.


1935년 문을 연 광주극장은 지역 영화문화의 상징이자 역사를 품은 공간이다. 필름에서 디지털로, 손간판에서 복원 상영으로 이어진 세월을 아우르며, 한 세대의 영화사를 기록해왔다. 그 오랜 시간의 이야기가 다시 관객에게로 이어진다. 광주극장 개관 90주년을 맞아 한 달간의 영화 축제가 펼쳐진다.

광주극장과 광주시네마테크가 오는 17일부터 11월 16일까지 ‘개관 90주년 광주극장 영화제’를 연다. 이번 영화제는 90년 동안 함께해온 관객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영화가 이어온 세대 간의 기억을 나누는 자리로 마련됐다.

특히 한국 영화의 거장 봉준호 감독을 조명하는 특별 프로그램이 준비돼 관심이 쏠린다. 봉 감독이 직접 광주극장을 찾아 관객과 만나는 시간도 예정돼 있어 시네필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밖에도 세계 영화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세월이 흘러도 빛을 잃지 않는 클래식 영화, 지역 극장과 사람들의 이야기 등 다채로운 섹션이 이어진다.

개막식은 17일 오후 7시 열린다. ‘10기 간판학교 워크숍’에 참여한 15명의 시민이 40여 일 동안 완성한 손간판을 공개하며 축제의 문을 연다.

이어 상영되는 개막작은 김동호 감독의 다큐멘터리 ‘미스터김, 영화관에 가다’다.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을 지낸 김 감독이 직접 카메라를 들고 한국과 아시아의 극장과 영화제를 찾아다니며 ‘극장’의 의미를 되묻는 작품이다. 상영 후에는 감독과의 대화(GV)도 마련된다.

올해 영화제는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네오리얼리즘의 유산’, ‘클래식 아카이브’, ‘스테이지 투 스크린’, ‘우리의 극장, 우리의 이야기’, ‘봉준호의 극장 노트’, ‘독립의 체온’ 등 총 7개 섹션으로 구성됐다.

로베르토 로셀리니 ‘무방비 도시’.
사티야지트 레이 ‘불굴의 인간’.


우선 20세기 영화사의 전환점이자 수많은 감독들에게 영감을 준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을 집중 조명한다. 로베르토 로셀리니의 ‘무방비 도시’, ‘전화의 저편’, ‘독일 영년’을 비롯해 루치노 비스콘티의 ‘흔들리는 대지’, 비토리오 데 시카의 ‘자전거 도둑’, ‘움베르토 D’ 등이 상영된다. 전후 유럽의 현실과 인간의 존엄을 기록한 대표작들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이와 함께 인도 거장 사티야지트 레이의 ‘아푸 3부작’(길의 노래·불굴의 인간·아푸의 세계), 현대 이탈리아 감독 알리체 로르바케르의 ‘행복한 라짜로’ 등 네오리얼리즘의 정신을 계승한 작품들도 선보인다.

오는 19일에는 한창욱 영화평론가가 ‘전화의 저편’을, 21일에는 정성일 영화평론가가 ‘길의 노래’를 각각 시네토크로 풀어내 깊이 있는 해석을 더한다.

‘클래식 아카이브’ 섹션에서는 장 르누아르의 ‘토니’, ‘랑주씨의 범죄’, 피터 그리너웨이의 ‘요리사, 도둑, 그의 아내 그리고 그녀의 정부’, 미야자키 하야오의 ‘모노노케 히메’ 등 시대를 초월한 명작들이 디지털 복원본으로 상영된다.

음악과 공연을 스크린으로 옮긴 ‘스테이지 투 스크린’에서는 ‘한 여름밤의 재즈’, ‘스탑 메이킹 센스’, ‘슈퍼소닉’, 그리고 지역 뮤지션들의 이야기를 담은 ‘버텨내고 존재하기’가 관객을 만난다. 뮤지션 성기완, 최고은 등이 참여하는 시네콘서트와 뮤직토크, 댄스어롱 상영회도 준비돼 영화제의 현장감을 더한다.

버트 스턴, 아람 아바키안 ‘한 여름밤의 재즈’.
피터 그리너웨이 ‘요리사, 도둑, 그의 아내 그리고 그녀의 정부’.


‘우리의 극장, 우리의 이야기’ 섹션은 극장과 관객의 기억을 다룬 작품으로 꾸며졌다. 쥬세페 토르나토레의 ‘시네마 천국’이 다시 스크린에 오르며, 원주 아카데미극장의 철거 과정을 기록한 다큐멘터리 ‘무너지지 않는다’가 11월 14일 GV로 상영된다.

또 90주년 특별 프로그램으로 ‘봉준호의 극장 노트’ 섹션이 마련됐다. 봉준호 감독의 대표작 ‘플란다스의 개’, ‘살인의 추억’, ‘마더(흑백판)’가 상영되고, 그가 직접 추천한 두 편의 영화 ‘바톤 핑크’와 ‘뜨거운 오후’가 함께 소개된다.

봉 감독이 직접 광주극장을 찾아오는 자리도 마련됐다. 11월 8일 ‘바톤 핑크’ 시네토크에서 그는 자신이 사랑해온 영화와 극장에 대해 관객과 이야기를 나눈다. 90년 동안 지역 영화의 중심을 지켜온 극장이 세계적인 감독과 함께 스크린의 의미를 되새기는 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극장 김형수 전무는 “90년 동안 관객과 함께 쌓아온 세월이 이번 영화제 곳곳에 담겼다”며 “극장이 시대와 호흡하며 시민과 만나는 공간으로 계속 남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람료 성인 1만원, 청소년 9000원, 노인·장애인 7000원, 디트릭스 예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