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해상풍력발전사협 ‘RE100 산업단지 조성’ 환영
“에너지 대전환 역사적 전환점이자 지역균형발전 앞당겨”
인허가 지연 등 복합적 규제로 위축됐던 사업 탄력 기대
인허가 지연 등 복합적 규제로 위축됐던 사업 탄력 기대
신안해상풍력발전사협의체가 정부의 ‘RE100 산업단지 정책 발표’에 대해 한동안 주춤했던 사업들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보고 환영하고 있다.
신안해상풍력발전사협의체는 지난 10일 대통령실에서 발표된 RE100 산업단지 조성 정책은 우리나라의 에너지 대전환을 위한 역사적 전환점이자 지역균형발전의 강력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정책으로써 이에 신안군민과 신안해상풍력발전사협의체는 환영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해상풍력발전사업은 인허가 지연, 제도적 불확실성, 주민 수용성, 계통 접속 문제 등 복합적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있어 매우 어려움 속에 위축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번 RE100 산업단지 정책은 단순한 정책 발표를 넘어, 사업자에게는 분명한 제도적 방향성과 실질적 돌파구를 제시한 중대한 전환점으로 사업에 탄력을 받게 됐다.
신안군은 세계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이 진행되고 있는 대한민국 재생에너지의 중심지로 풍부한 해양자원과 주민참여형 발전모델을 기반으로 에너지자립과 지역 소득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추구하고 있다.
정부가 밝힌 RE100 수요기업 유치, 지역 재생에너지 100% 활용, 에너지 신도시 조성 계획은 에너지 전환과 산업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전략으로 우리 지역의 미래를 여는 매우 시의적절한 조치로 받아들이고 있다.
신안은 그동안 청정에너지 확산과 지역발전을 위한 고통을 감내하며 함께 해왔고 이제 그 노력의 결실이 정부 정책을 통해 제도화되는 것으로 신재생에너지사업의 순환과 속도를 낼 수 있게 돼 신안이 신재생에너지 메카로 자리할 수 있게 됐다는 게 군의 전망이다.
신안해상풍력발전사협의체는 “이번 정책이 제도적 규제 완화, 전력계통 확보, 산업입지 지정 등 실행력 있는 후속 조치로 이어질 경우, 해상풍력발전사업은 더는 답보 상태에 머물지 않고, 명실상부한 국가 에너지전환의 주력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 협의체는 이러한 변화의 출발점이 되는 이번 발표를 진심으로 환영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지역 주민과 함께 대한민국 RE100 산업단지의 모범 사례를 신안에서 만들어내기 위한 최선과 정부, 지자체, 민간이 함께하는 협력 모델을 통해 신안군이 국민참여형 에너지전환 상징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신안=이상선 기자 sslee@kwangju.co.kr
신안해상풍력발전사협의체는 지난 10일 대통령실에서 발표된 RE100 산업단지 조성 정책은 우리나라의 에너지 대전환을 위한 역사적 전환점이자 지역균형발전의 강력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정책으로써 이에 신안군민과 신안해상풍력발전사협의체는 환영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번 RE100 산업단지 정책은 단순한 정책 발표를 넘어, 사업자에게는 분명한 제도적 방향성과 실질적 돌파구를 제시한 중대한 전환점으로 사업에 탄력을 받게 됐다.
신안군은 세계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이 진행되고 있는 대한민국 재생에너지의 중심지로 풍부한 해양자원과 주민참여형 발전모델을 기반으로 에너지자립과 지역 소득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추구하고 있다.
신안은 그동안 청정에너지 확산과 지역발전을 위한 고통을 감내하며 함께 해왔고 이제 그 노력의 결실이 정부 정책을 통해 제도화되는 것으로 신재생에너지사업의 순환과 속도를 낼 수 있게 돼 신안이 신재생에너지 메카로 자리할 수 있게 됐다는 게 군의 전망이다.
신안해상풍력발전사협의체는 “이번 정책이 제도적 규제 완화, 전력계통 확보, 산업입지 지정 등 실행력 있는 후속 조치로 이어질 경우, 해상풍력발전사업은 더는 답보 상태에 머물지 않고, 명실상부한 국가 에너지전환의 주력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 협의체는 이러한 변화의 출발점이 되는 이번 발표를 진심으로 환영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지역 주민과 함께 대한민국 RE100 산업단지의 모범 사례를 신안에서 만들어내기 위한 최선과 정부, 지자체, 민간이 함께하는 협력 모델을 통해 신안군이 국민참여형 에너지전환 상징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신안=이상선 기자 sslee@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