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가치 높은 마한 ‘영암 시종 고분군’ 국가유산 된다.
국가유산청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 예고
![]()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문에서 출토된 토기. <국가유산청 제공> |
‘영암 시종 고분군’은 5세기 중후반부터 6세기 초 조성된 고부군으로 영산강 본류와 삼포강 등을 조망할 수 있는 곳에 자리한다.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과 ‘내동리 쌍무덤’으로 구성돼 있으며 영산강 유역 마한의 사회, 문화적 변화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유적지다.
역사적 가치가 높은 ‘영암 시종 고분군’이 국가유산이 된다.
국가유산청은 23일 ‘영암 시종 고분군’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 예고했다.
학자들에 따르면 영암 시종면 일대는 서해와 내륙 길목의 요충지로 선진 문물을 수용하고 내륙으로 확산하는 관문 역할을 했다. 이 같은 지정학적 이점은 독자적인 문화와 세력을 이룰 수 있게 한 것으로 보인다.
영암에 자리한 49개소 고대 고분 가운데 시종면에만 28곳이 있으며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과 ‘내동리 쌍무덤’은 고분의 축조기술 등을 보여주는 대표적 유적이다. 특히 영산강 유역에서 볼 수 있는 토기를 비롯해 금동관 세움 장식이 확인된 바 있다. 금동관은 당시 백제와 정치, 사회적인 면에서 연계돼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다.
아울러 봉분 외곽 장식에 쓰인 원통형 토기, 동물형상 토제품도 출토되기도 했다. 이들 유물은 외래 유물을 수용해 현지화 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가유산청은 “이들 유적은 점토덩이로 방사형이나 동심원 형태로 구획하고 성토를 하는 방식이 활용됐다”며 “당대 기술의 수준을 보여줄 뿐 아니라, 마한의 요소를 토대로 인근 국가의 문물을 수용해 현지화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고 전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역사적 가치가 높은 ‘영암 시종 고분군’이 국가유산이 된다.
학자들에 따르면 영암 시종면 일대는 서해와 내륙 길목의 요충지로 선진 문물을 수용하고 내륙으로 확산하는 관문 역할을 했다. 이 같은 지정학적 이점은 독자적인 문화와 세력을 이룰 수 있게 한 것으로 보인다.
![]()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 <국가유산청 제공> |
국가유산청은 “이들 유적은 점토덩이로 방사형이나 동심원 형태로 구획하고 성토를 하는 방식이 활용됐다”며 “당대 기술의 수준을 보여줄 뿐 아니라, 마한의 요소를 토대로 인근 국가의 문물을 수용해 현지화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고 전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