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친문계 … 뭉치는 민주당
  전체메뉴
돌아온 친문계 … 뭉치는 민주당
공천갈등 수습 ‘단일대오’
12일 통합선대위 출범
지지층 확대 본격 나서
2024년 03월 11일(월) 20:15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합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4·10 총선 공천 과정에서 비롯된 계파 간 ‘공천 갈등’을 수습하고 단일대오 형성을 통한 지지율 반전에 본격 나선다.

총선을 30일 앞둔 11일 통합선거대책위원회를 출범시키고, 공천 과정에 갈등을 빚었던 일부 친문계 핵심 인사들이 ‘윤석열 정권 심판’을 위해 ‘백의종군’하고 당에 합류하면서 당내 분위기를 쇄신하는 ‘전환점’을 맞았기 때문이다.

경선 과정에 컷오프(공천 배제)돼 ‘공천 갈등’의 기폭제가 됐던 친문(친문재인)계 핵심인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11일 당내 통합을 당부하고 나섰고, 공천 내홍 과정에서 최고위원직 사퇴 의사를 밝힌 고민정 의원도 이날 최고위에 복귀하면서 당내 갈등은 빠르게 수습되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임 전 실장과 고 최고위원 등의 ‘복귀’를 계기로 지지율 반전을 위한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보고 선대위 출범과 함께 본격적인 지지율 회복에 나설 계획이다.

임 전 실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우리는 민주당이다. 모두가 아픔을 뒤로 하고 이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단결하자”고 당내 통합을 당부했다. 그는 “이재명이 흔들리면 민주당은 무너진다”면서 “이제는 친명(친이재명)도 비명도 없다”면서 이같이 적었다.

그러면서 “당의 결정을 수용한다. 더 이상 분열은 공멸이다”면서 “윤석열 정권 심판을 위해, 온 국민의 촛불로 쏘아 올린 ‘나라다운 나라’ 문재인의 민주당을 위해 백의종군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이재명 대표도 페이스북 답글을 통해 “당의 결정을 수용해 준 임 실장님께 감사하다”며 “임 실장님 말씀처럼 정권 심판을 위해 단결해야 한다”고 했다.

이 대표는 “임 실장님 표현대로, 우리는 민주당”이라며 “무도하고 무능하고 무책임한 정권을 반드시 심판하고, 국민의 승리를 우리 민주당이 함께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임 전 실장의 이 같은 메시지는 이날 친문계인 고 최고위원이 공천 내홍 속 당직 사의를 밝힌 지 13일 만에 최고위원회의에 복귀하며 총선 승리를 위한 단합을 강조한 데 이어 문재인 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김부겸 전 총리도 계파 간 통합을 주문하며 공동 선대위원장을 맡겠다고 발표한 것과 맞물려 주목된다.

고 최고위원도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 회의에 참석해 “지금은 윤석열 정부의 폭주를 막는 일보다 우선시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며 “같은 목표를 향해 손잡고 연대해야 하는 이유”라고 통합을 강조했다.

이어 “최고위원 복귀 이유 역시 마찬가지”라며 “걸어온 길이 조금은 다를지라도, 생각하는 바가 다르더라도 거대한 ‘윤석열’이라는 권력 앞에 연대하지 않으면 너무나 많은 이들을 잃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은 12일 이 대표와 이해찬 전 대표, 김부겸 전 총리 등 ‘3톱’ 체제의 상임선대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정권심판·국민승리 선거대책위원회’를 출범한다.

애초 김 전 총리는 당내 ‘공천 파동’에 쓴소리를 내며 선대위 참여가 어려울 것으로 보였지만,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선대위에 합류해 달라는 당의 요청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전 총리는 “국무총리직을 마치면서 정치인과 공직자로서의 여정을 멈춘다고 말씀드렸기 때문에 참으로 많은 고민이 있었다”면서도 “다시 당에 돌아온 이유는 윤석열 정권의 무능과 폭주를 심판하고, 입법부라는 최후의 보루를 반드시 지켜내야 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무엇보다 (당내)공천을 둘러싸고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모습에 안타까움이 컸다”고 평가하면서도 “이제는 선거가 눈앞에 왔다. 모든 것을 떨치고 함께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통합을 강조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그동안의 당내 계파 간 갈등이 임 전 실장의 백의종군과 고 최고위원, 김 전 총리 등의 합류로 인해 사실상 종지부를 찍고, 새로운 전환점을 맞게됐다”면서 “이제는 ‘정권 심판’을 위한 단일대오 형성을 통해 지지층 확대에 나설 것이다”고 밝혔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