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시대’… 광주·전남엔 신규 광역급행철도 사업 없다
  전체메뉴
‘GTX 시대’… 광주·전남엔 신규 광역급행철도 사업 없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윤대통령 “30분 출퇴근·교통격차 해소…본격 GTX 시대 열겠다”
지역별 광역급행철도 충청권과 대구·경북권 포함…호남은 빠져
2024년 01월 25일(목) 20:25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경기도 의정부시청 다목적체육관에서 열린 GTX-C 착공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25일 “올해부터 본격적인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시대를 열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의정부시청 대강당에서 ‘출퇴근 30분 시대, 교통격차 해소’를 주제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A·B·C선 연장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며 “A선은 평택, B선은 춘천, C선은 북쪽으로 동두천, 남쪽으로 천안·아산까지 연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D·E·F 3개선은 국가철도망계획에 먼저 반영해 동시에 추진하겠다. 민간 제안을 받아 민간투자 사업으로 빠르게 추진하는 방안을 병행해 나갈 것”이라며 “A선부터 F선까지 전부 완공되면 수도권에서 서울 도심까지 30분 대로 다닐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또 “이러한 좋은 교통 혜택은 수도권만 누리는 것이 아니라 지방에서도 누릴 수 있도록 전국 대도시로 GTX 서비스를 확대하겠다”며 “부·울·경, 대구·경북, 대전·세종·충청, 광주·전남 등 총 4개 도시권에 최고시속 180km급의 x-TX(광역급행철도)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정부는 이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노선을 충청도와 강원도까지 연장하고, 지방에도 지역별 광역급행철도 ‘x-TX’를 도입하는 등 전국에 ‘GTX 시대’를 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다만 연장 노선에 대한 사업비를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할 경우 예비타당성 조사를 생략할 수 있다는 내용에 대해선 향후 사업비 분담에 따른 지방 재정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정부가 이날 발표한 지방권 광역급행철도 (x-TX) 사업 내용 중 광주·전남지역의 신규 철도사업이 한 개도 포함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승남(고흥·보성·장흥·강진) 의원은 이날 “총사업비 134조원이 투입될 윤석열 정부의 교통 대책에 전남도가 요구한 광주~화순 광역철도 등 신규 철도 사업을 단 1개도 반영하지 않았다” 고 비판했다.

김 의원이 ‘교통 분야 3 대 혁신 전략’에 포함된 33개 추진과제별 세부 사업 내역을 분석한 결과 총사업비 134조원이 투입될 사업 중 광주·전남에서 추진될 사업은 기존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등에 반영돼 추진되고 있는 사업이다.

광주∼나주 광역철도 사업과 ▲2002년부터 추진된 보성~임성리 단선철도 건설사업 ▲2018 년부터 추진된 경전선 광주송정~ 순천 전철화 사업 등 4개만 반영되었을 뿐 신규 사업은 단 1개도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전국 GTX 시대를 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자 ‘교통 분야 3 대 혁신 전략’의 핵심 사업인 ‘지방권 광역급행철도 (x-TX)사업’ 에는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대구∼경북 신공항철도 등 충청권과 대구·경북권 등 2 개 권역에서 추진될 사업만 포함됐다.

김 의원은 “호남은 제외한 채 수도권과 일부 비수도권 지역에서만 추진하는 광역급행철도 계획을 발표해놓고, 어떻게 전국 GTX 시대를 열겠다는 것이냐”고 비판한 뒤 “윤 정부가 올해 수립한 5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고흥 우주선 철도, 보성~화순 철도, 전남권 광역급행철도,목포~보성 남해안철도 등을 사업에 반드시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남도도 현재 추진 중인 3개 광역철도 사업이 5차 국가 철도망 계획에 반영되도록 정부와 적극적으로 협의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전남도는 현재 광주와 화순(능주)을 잇는 18.5㎞(예산 7440억원) 광역철도, 보성과 화순(능주)을 연결하는 33.0㎞(예산 1600억원) 전철화, 임성역과 목포역 7.5㎞(예산 2700억원)를 잇는 호남선-남해선 연결선 등 3개 철도 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