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公, 농지은행 사업비 1조8091억 ‘역대 최대’
전년 대비 3455억원·23.6%↑
단계별 농업인 지원 혜택 강화
단계별 농업인 지원 혜택 강화
한국농어촌공사(사장 이병호)는 올해 농지은행 사업비로 역대 최대규모인 1조8091억원을 확보했다고 11일 밝혔다.
11일 한국농어촌공사에 따르면 올해 농지은행사업비는 1조8091억원으로 전년 대비 3455억 원(23.6%) 증가했다.
사업별 편성 예산은 ▲맞춤형 농지지원사업(1조2409억원) ▲경영회생지원 농지매입사업(2337억원) ▲농지연금(2423억원) ▲과원규모화사업(270억원) ▲농지이양은퇴직불(264억원) ▲비축농지 임대형 스마트팜사업(60억원) 등이다.
이 중 ‘맞춤형농지지원사업’ 예산은 전년(8578억원) 대비 3831억원(44.6%) 늘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에 따라 농가 경영 단계별 농업인에 대한 지원 혜택이 강화될 전망이다.
청년농 수요 맞춤 사업도 올해 대폭 확대됐다. 청년 농업인의 수요에 맞춰 추진된 선임대 후매도 사업은 (82억→171억원)으로 2배 이상 늘었고, 이 외에도 청년 창업형 스마트 농업 단지 사업(54억→300억원), 비축농지 임대형 스마트팜사업(45억→60억원)으로 전년 대비 대폭 증액됐다.
또, 한국농어촌공사는 264억 규모의 농지 이양 은퇴 직불사업을 신규 도입해 고령 농업인의 노후 생활 안정을 도모하고, 이양받은 농지는 청년 농업인에게 우선 제공하는 등 청년 농업인을 위한 농지확보를 지원할 방침이다.
이병호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은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환경을 위해 청년농 육성과 농가 경영 안정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추진하겠다”며 “고객 맞춤형 사업추진으로 농업인의 만족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11일 한국농어촌공사에 따르면 올해 농지은행사업비는 1조8091억원으로 전년 대비 3455억 원(23.6%) 증가했다.
사업별 편성 예산은 ▲맞춤형 농지지원사업(1조2409억원) ▲경영회생지원 농지매입사업(2337억원) ▲농지연금(2423억원) ▲과원규모화사업(270억원) ▲농지이양은퇴직불(264억원) ▲비축농지 임대형 스마트팜사업(60억원) 등이다.
청년농 수요 맞춤 사업도 올해 대폭 확대됐다. 청년 농업인의 수요에 맞춰 추진된 선임대 후매도 사업은 (82억→171억원)으로 2배 이상 늘었고, 이 외에도 청년 창업형 스마트 농업 단지 사업(54억→300억원), 비축농지 임대형 스마트팜사업(45억→60억원)으로 전년 대비 대폭 증액됐다.
이병호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은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환경을 위해 청년농 육성과 농가 경영 안정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추진하겠다”며 “고객 맞춤형 사업추진으로 농업인의 만족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