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 대학 선정 ‘5쪽짜리 전쟁’ 시작
교육부, 2026년까지 30곳 뽑아
1개교 당 5년간 1000억원 지원
광주·전남 14개 대학 신청서 접수
‘5쪽 이내 혁신기획서’에 달려
“선정 안 되면 고사할 것” 우려
산업구조 취약 호남권 대학 불리
1개교 당 5년간 1000억원 지원
광주·전남 14개 대학 신청서 접수
‘5쪽 이내 혁신기획서’에 달려
“선정 안 되면 고사할 것” 우려
산업구조 취약 호남권 대학 불리
![]() 글로컬대학 예비 지정 신청 현황
<교육부 제공> |
‘5쪽짜리 전쟁이 시작됐다.’
1일 광주·전남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교육부가 선정하는 ‘글로컬대학30’ 신청이 지난 31일 마감됐다. 이 사업은 혁신역량을 갖춘 지역 대학을 올해부터 2026년까지 30곳 뽑아 글로컬 대학으로 지정해 1개교당 5년간 1000억원을 파격 지원하는 게 골자다. 지방대 육성사업으로 비수도권 대학이 대상이다.
교육부가 기존 형식을 파괴하기 위해 신청 대학에 ‘5쪽 이내 혁신기획서’를 요구해 ‘5쪽짜리 전쟁’으로 불린다. 학교당 지원 규모가 워낙 크다 보니 일각에서는 글로컬 대학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방대는 고사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사실상 ‘살생부’가 될 것이라는 얘기다.
교육부는 세부적으로 ▲지역혁신을 위한 산학협력의 허브 역할 ▲대학 안-밖, 대학 내부의 경계를 허무는 유연한 대학 운영 ▲브랜드 가치를 지닌 선도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한 중장기 혁신 계획 ▲대학의 운영 성과 및 지역사회 기여도의 투명한 공개 등 대학 내부 구조·운영 개선방안이 혁신기획서에 담겨야 한다고 가이드 라인을 제시했다.
광주에서는 전남대, 조선대, 광주교대, 광주대, 호남대, 광주여대, 송원대, 남부대 등 8개 대학이 신청서를 냈다. 조선대는 혁신기획서에 조선간호대학과 통합 추진을 포함시켜 주목된다. 같은 법인 산하 대학이지만 대학 간 통합은 광주 사립대 가운데 처음이다.
전남에서는 목포대, 순천대, 동신대, 목포해양대, 초당대, 순천제일대가 신청서를 접수했다.
광주·전남지역에서는 글로컬대학30 사업과 맞물려 대학 통합 움직임이 일고 있어 관심을 모은다. 정부가 글로컬대학 사업 추진방안에서 대학 간 통합을 강조하고 있어서다.
조선대와 조선간호대학의 통합 추진을 계기로 목포대,순천대가 전남도립대와 통합을 위해 실무적으로 논의를 가졌거나 폭넓게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전국적으로는 부산대와 부산교대, 안동대·경북도립대 등 전국 10개 대학이 통·폐합을 추진하거나 논의하고 있다.
교육부는 각 대학이 제출한 혁신기획서를 바탕으로 이달 중으로 15개교 내외를 글로컬대학으로 예비 지정할 계획이다. 글로컬대학위원회와 교육부는 평가·심의를 거쳐, 10월 10개 내외의 글로컬대학을 본지정할 방침이다.
광주·전남지역에서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교육부가 올초 선정한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라이즈·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시범 지역에 가산점(10점)을 부과할 방침이기 때문이다. ‘라이즈’의 핵심은 2024년부터 대학 재정지원 사업 예산 2조원 이상의 집행 권한을 지자체에 넘기는 것이다. 중앙부처가 도맡던 대학 지원 방식을 지역 주도 방식으로 새롭게 전환해 지자체와 대학이 상생 방안을 찾으라는 주문이다.
하지만 전남은 라이즈 선정 7개 지자체에 포함된 반면, 광주는 탈락했다. 사실상 광주는 지자체의 지원 의지에서 점수를 받지 못했다.
광주 A대학 관계자는 “광주시가 라이즈 사업에서 탈락했기 때문에 대학들이 불이익을 받을까 우려하고 있다”며 “이는 사실상 글로컬대학 신청 대학들에게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뛰라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말했다.
‘글로컬대학30’에서 요구하는 산학협력의 허브 역할도 광주·전남에는 불리한 조항이다. 이는 기업과 협력을 바탕으로 산업생태계를 구축해 지역 대학 출신 인재들이 지역에 머물게 하는 구조를 창출하는 게 핵심이다. 문제는 광주·전남을 비롯한 호남권은 부산, 영남권 보다 산업생태계가 열악하다는 데 있다. 지역인재들이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체가 손꼽을 정도로 적어 청년들을 위한 정주여건이 취약하다는 한계가 있다.
B대학 관계자는 “글로컬대학 사업에 맞춰 산학협력 모델을 만들 기업을 지역에서 찾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광주·전남 대학들이 절대 불리한 상황”이라면서 “정부가 산업간 불균형, 지역발전도 등을 고려하지 않고 지원대학을 선정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가 글로컬대학 예비 지정 신청을 마감한 결과 모두 108개교가 94건의 신청서를 냈다. 글로컬대학은 비수도권 대학(166개교)만 신청할 수 있는데, 그중 65.1%가 글로컬대학 지정에 도전한 셈이다.
/윤영기 기자 penfoot@kwangju.co.kr
1일 광주·전남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교육부가 선정하는 ‘글로컬대학30’ 신청이 지난 31일 마감됐다. 이 사업은 혁신역량을 갖춘 지역 대학을 올해부터 2026년까지 30곳 뽑아 글로컬 대학으로 지정해 1개교당 5년간 1000억원을 파격 지원하는 게 골자다. 지방대 육성사업으로 비수도권 대학이 대상이다.
교육부는 세부적으로 ▲지역혁신을 위한 산학협력의 허브 역할 ▲대학 안-밖, 대학 내부의 경계를 허무는 유연한 대학 운영 ▲브랜드 가치를 지닌 선도대학으로 성장하기 위한 중장기 혁신 계획 ▲대학의 운영 성과 및 지역사회 기여도의 투명한 공개 등 대학 내부 구조·운영 개선방안이 혁신기획서에 담겨야 한다고 가이드 라인을 제시했다.
전남에서는 목포대, 순천대, 동신대, 목포해양대, 초당대, 순천제일대가 신청서를 접수했다.
광주·전남지역에서는 글로컬대학30 사업과 맞물려 대학 통합 움직임이 일고 있어 관심을 모은다. 정부가 글로컬대학 사업 추진방안에서 대학 간 통합을 강조하고 있어서다.
조선대와 조선간호대학의 통합 추진을 계기로 목포대,순천대가 전남도립대와 통합을 위해 실무적으로 논의를 가졌거나 폭넓게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전국적으로는 부산대와 부산교대, 안동대·경북도립대 등 전국 10개 대학이 통·폐합을 추진하거나 논의하고 있다.
교육부는 각 대학이 제출한 혁신기획서를 바탕으로 이달 중으로 15개교 내외를 글로컬대학으로 예비 지정할 계획이다. 글로컬대학위원회와 교육부는 평가·심의를 거쳐, 10월 10개 내외의 글로컬대학을 본지정할 방침이다.
광주·전남지역에서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교육부가 올초 선정한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라이즈·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시범 지역에 가산점(10점)을 부과할 방침이기 때문이다. ‘라이즈’의 핵심은 2024년부터 대학 재정지원 사업 예산 2조원 이상의 집행 권한을 지자체에 넘기는 것이다. 중앙부처가 도맡던 대학 지원 방식을 지역 주도 방식으로 새롭게 전환해 지자체와 대학이 상생 방안을 찾으라는 주문이다.
하지만 전남은 라이즈 선정 7개 지자체에 포함된 반면, 광주는 탈락했다. 사실상 광주는 지자체의 지원 의지에서 점수를 받지 못했다.
광주 A대학 관계자는 “광주시가 라이즈 사업에서 탈락했기 때문에 대학들이 불이익을 받을까 우려하고 있다”며 “이는 사실상 글로컬대학 신청 대학들에게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뛰라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말했다.
‘글로컬대학30’에서 요구하는 산학협력의 허브 역할도 광주·전남에는 불리한 조항이다. 이는 기업과 협력을 바탕으로 산업생태계를 구축해 지역 대학 출신 인재들이 지역에 머물게 하는 구조를 창출하는 게 핵심이다. 문제는 광주·전남을 비롯한 호남권은 부산, 영남권 보다 산업생태계가 열악하다는 데 있다. 지역인재들이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체가 손꼽을 정도로 적어 청년들을 위한 정주여건이 취약하다는 한계가 있다.
B대학 관계자는 “글로컬대학 사업에 맞춰 산학협력 모델을 만들 기업을 지역에서 찾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광주·전남 대학들이 절대 불리한 상황”이라면서 “정부가 산업간 불균형, 지역발전도 등을 고려하지 않고 지원대학을 선정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가 글로컬대학 예비 지정 신청을 마감한 결과 모두 108개교가 94건의 신청서를 냈다. 글로컬대학은 비수도권 대학(166개교)만 신청할 수 있는데, 그중 65.1%가 글로컬대학 지정에 도전한 셈이다.
/윤영기 기자 penfoot@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