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공공요금 10종 인상 내년 이후 검토
상하수도·도시가스·시내버스·택시요금 등
강기정 시장 ‘고유가·고물가 민생 100일 대책’ 첫 결재
강기정 시장 ‘고유가·고물가 민생 100일 대책’ 첫 결재
![]() |
광주시가 상하수도, 도시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을 내년 이후에 검토하기로 했다.
강기정 시장은 지난 1일 취임식 직후 첫 결재로 ‘고유가·고물가 민생 100일 대책’ 추진안에 서명했다. 물가 안정을 위해 공공 물가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소상공인 등 경제적 취약 계층을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했다고 광주시는 설명했다.
이번 대책은 257억원을 투입해 공공물가 억제, 경제 안전망 강화, 소비 촉진 등 3대 분야 9개 과제를 추진해 810억원 규모 재정 집행 효과를 거두겠다는 내용을 담았다.
광주시는 상하수도, 도시가스, 시내버스, 택시 등 서민경제와 직결되는 공공요금 10종 조정·인상은 2023년 이후 검토하기로 했다.
또 로컬푸드, 직거래 장터를 1곳씩 늘려 지역 농산물 이용을 촉진하고 차량 카풀제 활성화, 결혼·장례 간소화를 통한 음식물 쓰레기 최소화 등 착한 소비 운동을 추진한다.
소상공인에게는 500억원 규모 특례 보증을 시행하며, 경력 단절 여성, 장기 실업자 등을 새로 채용하는 연 매출 3억원 이하 소상공인에게는 3개월간 1명당 월 50만원 인건비를 지원한다. 1인 자영업자 사회 보험료 지원은 30%에서 50%로, 노란 우산 장려금 지원은 1만원에서 2만원으로 늘린다.
최근 예산 소진으로 중단된 광주 상생카드 할인은 예산 확보 후 오는 10월께 재개하기로 했다.
강 시장은 이날 첫 결재 직후 간부공무원과 상견례를 겸해 지역 민생안정대책을 위한 현안토론도 진행했다.
강 시장은 “물가, 유가, 금리의 삼중고에 처해있는 시민에게 정부정책에만 의존하지 않는 광주만의 맞춤형 물가대책이 필요하다. 이번 민생 100일 대책은 물가안정, 경영안정, 경제유지가 핵심”이라면서 “일자리경제실장을 중심으로 관계기관과 함께 민생경제대책본부를 구성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민생경제 활성화 시책 마련에 최선을 다해주기 바라며, 대중교통 활성화, 취약계층 교통비 지원 등 교통수송 부분 등의 후속 조치 마련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주문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강기정 시장은 지난 1일 취임식 직후 첫 결재로 ‘고유가·고물가 민생 100일 대책’ 추진안에 서명했다. 물가 안정을 위해 공공 물가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소상공인 등 경제적 취약 계층을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했다고 광주시는 설명했다.
광주시는 상하수도, 도시가스, 시내버스, 택시 등 서민경제와 직결되는 공공요금 10종 조정·인상은 2023년 이후 검토하기로 했다.
또 로컬푸드, 직거래 장터를 1곳씩 늘려 지역 농산물 이용을 촉진하고 차량 카풀제 활성화, 결혼·장례 간소화를 통한 음식물 쓰레기 최소화 등 착한 소비 운동을 추진한다.
소상공인에게는 500억원 규모 특례 보증을 시행하며, 경력 단절 여성, 장기 실업자 등을 새로 채용하는 연 매출 3억원 이하 소상공인에게는 3개월간 1명당 월 50만원 인건비를 지원한다. 1인 자영업자 사회 보험료 지원은 30%에서 50%로, 노란 우산 장려금 지원은 1만원에서 2만원으로 늘린다.
강 시장은 이날 첫 결재 직후 간부공무원과 상견례를 겸해 지역 민생안정대책을 위한 현안토론도 진행했다.
강 시장은 “물가, 유가, 금리의 삼중고에 처해있는 시민에게 정부정책에만 의존하지 않는 광주만의 맞춤형 물가대책이 필요하다. 이번 민생 100일 대책은 물가안정, 경영안정, 경제유지가 핵심”이라면서 “일자리경제실장을 중심으로 관계기관과 함께 민생경제대책본부를 구성해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민생경제 활성화 시책 마련에 최선을 다해주기 바라며, 대중교통 활성화, 취약계층 교통비 지원 등 교통수송 부분 등의 후속 조치 마련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주문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