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석면 제거’ 교육감 선거 이슈로”
환경단체 실태조사, 전남 학교 10곳 중 6곳 ‘석면 여전’
광주·전남을 비롯해 전국 절반가량의 학교 건물이 여전히 석면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라는 환경단체의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다. 단체들은 이 문제를 이번 지방선거 교육감 선출과정에서 중요 이슈로 다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와 전국학교석면학부모네트워크는 25일 ‘전국 학교 석면 현황 조사보고서 발표’ 기자회견에서 “전국 초중고등학교 10곳 중 4∼5곳은 여전히 ‘석면학교’”라며 “이번 지방선거의 중요 이슈로 다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석면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에서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한 물질로 잠복기를 거쳐 흉막질환, 폐암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체의 조사 결과 올해 3월 말 기준 전국 1만1946개 초·중·고교 가운데 총 5454곳(45.7%)은 아직 석면 철거 공사를 하지 않았다.
학교별로 보면 고등학교의 석면 제거율이 가장 미진했다. 전국 고등학교 2371곳 중 53%인 1275곳에 아직 석면이 남아있다. 이어 초등학교 44.6%, 중학교 42.4% 순이다.
지역별로 보면 전남이 59.0%로 석면학교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경남(58.8%), 서울(58.6%), 충북(56.0%)이 뒤를 이었다. 광주는 39.4%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은 45.7%다.
한편 2027년까지 전국 학교의 석면을 완전히 제거하겠다는 교육부 계획에 따라 전국 시도 교육청에서는 방학 기간에 석면 제거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
환경보건시민센터와 전국학교석면학부모네트워크는 25일 ‘전국 학교 석면 현황 조사보고서 발표’ 기자회견에서 “전국 초중고등학교 10곳 중 4∼5곳은 여전히 ‘석면학교’”라며 “이번 지방선거의 중요 이슈로 다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단체의 조사 결과 올해 3월 말 기준 전국 1만1946개 초·중·고교 가운데 총 5454곳(45.7%)은 아직 석면 철거 공사를 하지 않았다.
학교별로 보면 고등학교의 석면 제거율이 가장 미진했다. 전국 고등학교 2371곳 중 53%인 1275곳에 아직 석면이 남아있다. 이어 초등학교 44.6%, 중학교 42.4% 순이다.
한편 2027년까지 전국 학교의 석면을 완전히 제거하겠다는 교육부 계획에 따라 전국 시도 교육청에서는 방학 기간에 석면 제거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