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민, 종전선언 평가 긍정 66% 부정 5%
시민 1110명 평화·통일 인식조사
청소년은 긍정 59% 부정 7%
성인 65%·청소년 53% “통일 필요”
청소년은 긍정 59% 부정 7%
성인 65%·청소년 53% “통일 필요”
![]() |
광주시민 10명 중 6명은 정부의 종전 선언에 대해 긍정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광주시가 발표한 ‘평화·통일 시민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부의 종전선언에 대해 성인 66.4%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청소년의 긍정 평가는 59.3%였다. 부정 평가는 성인 5.2%, 청소년 7.2%였다.
통일에 대해서는 성인과 청소년 사이에 일부 인식 차이도 보였다. 통일에 대해 성인은 ‘남북이 하나의 국가로 합쳐지는 것’(31.2%), ‘사람이 자유롭게 왕래하는 것’(26.0%)이라고 답했고, 청소년은 ‘사람이 자유롭게 왕래하는 것’(80.5%), ‘남북이 하나의 국가로 합쳐지는 것’(8%)이라고 응답했다.
‘통일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필요하다’는 응답은 성인 65.2%, 청소년 53.1%였으며, ‘필요하지 않다’는 성인 9.6%, 청소년 16.2%였다. 통일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 성인은 ‘남북 간 사회·문화적 차이’(33.3%), ‘통일 이후 사회적 문제’(31.3%)를 꼽았고, 청소년은 ‘통일의 경제적 부담’(28.3%), ‘통일 이후 사회적 문제’(27.3%)를 들었다.
북한에 대한 인식에서 성인은 ‘협력적 대상’(45.2%), ‘지원의 대상’(25.0%)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청소년은 ‘협력적 대상’(36.7%), ‘경계 대상’(31.8%)이라고 답했다.
남북교류 활성화를 위해 광주시가 가장 우선으로 추진해야 할 일에 대해선 ‘지방간 경제협력’(34.0%), ‘법·제도 마련’(21.6%),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18.8%), ‘통일을 대비한 협력기금 마련’(14.0%), ‘국제스포츠 행사 공동 유치’(10.0%) 순이었다.
평화통일 공감대 형성을 위한 광주시의 역할에 대해선 ‘평화통일 교육’과 ‘평화통일 체험공간 조성’이 각각 36.6%, ‘평화통일 관련 행사 개최’ 20.0%, ‘평화통일 단체 지원’ 6.0% 등이었다.
이번 조사는 광주시·시교육청·시 남북교류협의회가 리서치 전문 기관인 폴인사이트에 의뢰해 지난달 10일부터 26일까지 18세 이상 500명과 중·고등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김정민 광주시 평화기반조성과장은 “조사 결과를 자치구, 유관기관, 시민사회단체와 공유하고 향후 평화·통일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해 세대 간 인식 차이를 좁힐 수 있는 통일교육, 문화기반 조성사업 등을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12일 광주시가 발표한 ‘평화·통일 시민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부의 종전선언에 대해 성인 66.4%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청소년의 긍정 평가는 59.3%였다. 부정 평가는 성인 5.2%, 청소년 7.2%였다.
통일에 대해서는 성인과 청소년 사이에 일부 인식 차이도 보였다. 통일에 대해 성인은 ‘남북이 하나의 국가로 합쳐지는 것’(31.2%), ‘사람이 자유롭게 왕래하는 것’(26.0%)이라고 답했고, 청소년은 ‘사람이 자유롭게 왕래하는 것’(80.5%), ‘남북이 하나의 국가로 합쳐지는 것’(8%)이라고 응답했다.
남북교류 활성화를 위해 광주시가 가장 우선으로 추진해야 할 일에 대해선 ‘지방간 경제협력’(34.0%), ‘법·제도 마련’(21.6%),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18.8%), ‘통일을 대비한 협력기금 마련’(14.0%), ‘국제스포츠 행사 공동 유치’(10.0%) 순이었다.
평화통일 공감대 형성을 위한 광주시의 역할에 대해선 ‘평화통일 교육’과 ‘평화통일 체험공간 조성’이 각각 36.6%, ‘평화통일 관련 행사 개최’ 20.0%, ‘평화통일 단체 지원’ 6.0% 등이었다.
이번 조사는 광주시·시교육청·시 남북교류협의회가 리서치 전문 기관인 폴인사이트에 의뢰해 지난달 10일부터 26일까지 18세 이상 500명과 중·고등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김정민 광주시 평화기반조성과장은 “조사 결과를 자치구, 유관기관, 시민사회단체와 공유하고 향후 평화·통일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해 세대 간 인식 차이를 좁힐 수 있는 통일교육, 문화기반 조성사업 등을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