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사망 원인 ‘다발성 골수종’] 형질세포 비정상적 증식 혈액암
노년층 주로 발생…남성 〉여성
![]() 지병을 앓아온 전두환 씨가 23일 오전 8시40분께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에서 숨졌다. 사진은 올해 8월 9일 광주에서 열린 항소심 재판에 출석하기 위해 연희동 자택을 나서는 모습. /연합뉴스 |
전두환 씨가 지병인 ‘다발성골수종’을 앓다 숨진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질환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발성골수종은 백혈병, 림프종과 함께 3대 혈액암으로 구분되며, 전체 종양의 1~2%를 차지한다. 평균 진단 연령이 60대 중반으로 노인층에서 주로 발생하며 남성이 여성보다 발병률이 높다. 40대 이하 발병률은 5%미만이다.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최근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가암등록통계에 의하면 2018년 발생한 ‘다발성골수증’ 환자는 1718명, 2009년 발생한 1037명보다 66% 증가한 수치로 그해 전체 생존율은 70.3% 이다.
‘다발성골수종’ 은 백혈구의 종류인 형질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분화, 증식돼 나타나는 혈액암으로 비정상적인 형질세포가 골수를 침범하므로 다발성 골수종으로 부른다. 형질세포는 세균과 바이러스가 몸속에 침투하면 바로 항체를 만들어 내고 외부 유입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체인 면역 단백을 분비한다.
다발성골수종 세포(비정상적인 형질세포)는 M-단백이라는 비정상적인 항체를 만들어 골수에 쌓이게 하고 콩팥 손상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뼈가 잘 부러지거나 통증을 유발하며 백혈구와 적혈구, 혈소판 수치가 감소해 감염과 출혈 위험이 증가한다.
발병원인은 아직 밝혀진 게 없지만 방사선, 화학물질 노출(농약, 살충제, 석유 등), 유전적 요소 등이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다발성골수종’과 뚜렷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환자의 70% 정도에서 발생하는 빈혈이 있고 다음으로는 골병변에 의한 뼈 통증이 있다. 골절과 뼈가 녹아 내리는 골 융해로 인한 뼈 손상이 초래되고 칼슘이 혈류로 유입되는 고칼슘혈증과 이와 관련된 증상(식욕감퇴, 오심, 구토, 빈뇨, 갈증, 변비, 피로감, 의식장애 등)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신기능감소, 피로, 체중 감소 등도 나타날 수 있다. 다발성골수종은 반복되는 재발로 완치가 힘든 질병이다. 3기인 경우 5년 생존율이 약 30% 전후이다.
/채희종 기자 chae@kwangju.co.kr
다발성골수종은 백혈병, 림프종과 함께 3대 혈액암으로 구분되며, 전체 종양의 1~2%를 차지한다. 평균 진단 연령이 60대 중반으로 노인층에서 주로 발생하며 남성이 여성보다 발병률이 높다. 40대 이하 발병률은 5%미만이다.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최근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발성골수종’ 은 백혈구의 종류인 형질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분화, 증식돼 나타나는 혈액암으로 비정상적인 형질세포가 골수를 침범하므로 다발성 골수종으로 부른다. 형질세포는 세균과 바이러스가 몸속에 침투하면 바로 항체를 만들어 내고 외부 유입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체인 면역 단백을 분비한다.
발병원인은 아직 밝혀진 게 없지만 방사선, 화학물질 노출(농약, 살충제, 석유 등), 유전적 요소 등이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다발성골수종’과 뚜렷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환자의 70% 정도에서 발생하는 빈혈이 있고 다음으로는 골병변에 의한 뼈 통증이 있다. 골절과 뼈가 녹아 내리는 골 융해로 인한 뼈 손상이 초래되고 칼슘이 혈류로 유입되는 고칼슘혈증과 이와 관련된 증상(식욕감퇴, 오심, 구토, 빈뇨, 갈증, 변비, 피로감, 의식장애 등)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신기능감소, 피로, 체중 감소 등도 나타날 수 있다. 다발성골수종은 반복되는 재발로 완치가 힘든 질병이다. 3기인 경우 5년 생존율이 약 30% 전후이다.
/채희종 기자 chae@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