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몇 개나 드시나요-김동규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의원 원장
  전체메뉴
약, 몇 개나 드시나요-김동규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의원 원장
2021년 11월 04일(목) 00:30
우리나라는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가 늘고 있다. 이에 여러 종류의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또한 증가하고 있다. 다제약물 복용은 복약 순응도가 떨어지고 약물 상호 작용 및 부작용 발생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다제약물을 ‘복수의 약제를 동시에 투여하는 것’ 혹은 ‘지나치게 많은 수의 약제를 투여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제약물 복용이란 대여섯 개 이상의 의약품을 병용 투여하는 것을 말한다. 기대 수명과 노인들의 복합적인 만성질환의 증가로 다제약물 사용은 늘고 있다. 특히 노인 환자에서 부작용 발생이 흔한데, 이는 노화에 따른 생리적 기능 감퇴와 복합적 만성질환에 따른 다제약물 복용과 관련이 있다.

다제약물은 낙상, 골절, 어지럼증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또한 인지 기능 감소, 치매, 허약감, 파킨슨병 발생 위험과 연관 가능성도 보고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연구소에서 발표한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한 다제약물 복용자의 약물 처방 현황과 기저질환 및 예후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다섯 개 이상 약물을 처방받는 65세 이상 노인은 46.6%였으며, 이 중 부적절한 처방은 47.0%이었다. 노인이 다섯 개 이상의 약물을 복용하면 한 개에서 네 개를 복용할 경우에 비해 입원 위험이 18%, 사망 위험이 25%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다제약물 복용의 현황 및 유형 분석에 대한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다제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들은 의료기관 외래 방문 일수와 입원 일수, 방문의료기관 수가 더 많았으며 상급 종합병원이나 종합병원 방문 비율도 더 높았다. 또 동반 질환에서 매우 높은 비율로 고혈압, 지질대사장애(고지혈증), 당뇨병, 무릎관절증 등의 경증 만성질환을 갖고 있었고, 특히 우울증이나 불안 등의 정신과 질환과 신기능부전, 만성 뇌졸중, 치매 등의 중증 만성질환은 다제약물 복용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1.5~3배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노인 환자는 여러 의사로부터 다양한 약물을 처방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처방 일반 약, 각종 한약, 건강보조식품 등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약물 복용 상황을 알기는 매우 힘들다. 그러므로 의료인들은 정기적으로 환자가 복용하고 있는 약물을 모두 가져오라 하여 정확한 약물 복용력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오랫동안 사용하던 약물은 연령과 신체의 변화와 질병 상태, 기능 상태의 변화에 따라 약의 분비나 대사가 변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용량을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너무 복잡한 투약 방법은 환자의 약물 순응도를 나쁘게 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약물 복용법이나 횟수를 간단하게 해 주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약물 간 상호 작용, 약물·질병 간 상호 작용, 약물과 함께 투여된 음식이나 영양소의 상호 작용에 대해 숙지하고, 약물 부작용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여 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 스스로도 다제약물 복용의 위험에 대처해야 한다.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의사에게 현재 먹고 있는 약에 대해 알려주는 게 좋다. 이때 약은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 외에 한약, 영양제, 보조식품 등이 해당한다. 과거 특정 약을 먹은 후 과민 반응이나 부작용을 겪었다면 이 역시 사전에 말해야 하며 의사가 처방하는 약의 효과와 부작용 가능성, 함께 먹으면 안 되는 약들에 대해 묻고 기록해야 한다. 직접 기록하기 어렵다면 보호자를 동행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병원 진료를 받을 때는 약의 이름과 보관법, 복용법, 함께 먹으면 안 되는 음식, 음료 등을 확인하는 게 좋다. 이와 같은 내용을 확인하지 못했거나 헷갈린다면 약을 조제한 약사에게 다시 한번 문의해야 한다. 약국은 되도록 과거 약 처방이 남아 있는 한 곳을 정해 놓고 다니는 것을 권장한다.

병원이나 약국을 갈 때 사전에 작성한 목차를 지참해 의사, 약사에게 보여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새로운 약을 먹은 후 부작용이 생기거나 치료 효과가 낮아진 경우 즉시 약을 처방받은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한다. 한편 다제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들은 집에서 약을 먹을 때 밝은 곳에서 반드시 약 종류를 확인하고 먹어야 한다.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