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비엔날레 노조, 부당 해고·대표이사 재단 사유화 주장 파장
‘인권 위기 성명서’ 발표
“김선정 대표 직장내 갑질” 주장
국민권익위 등 3곳에 진정서
“김선정 대표 직장내 갑질” 주장
국민권익위 등 3곳에 진정서
광주비엔날레 노동조합과 직원들이 비엔날레 대표이사의 노동법을 무시한 부당해고와 재단 사유화 등을 주장하며 성명서를 발표하고 국가 기관에 진정서를 접수해 파장이 일고 있다. 일부에서는 코로나19로 두 차례 연기된 후 어렵게 제13회 광주비엔날레가 열리고 있는 상황에서 벌어진 이번 사태가 원활한 행사 진행과 비엔날레의 이미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조합과 직원들은 26일 ‘광주비엔날레 인권 위기 성명서’를 발표하고 “김선정 대표이사의 직원 당일 해고 등 노동법을 무시한 부당 해고와 갑질, 대표이사의 재단 사유화, 재단 조직 시스템 붕괴 등에 대한 사실을 밝히기 위해 국민권익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시 민주인권과 등 3곳에 ‘(재)광주비엔날레 직장 내 괴롭힘 사건’ 진정서를 접수했다”고 밝혔다.
조합은 지난 19일 단행된 홍보마케팅 부장의 계약해지 통보를 ‘노동법을 무시한 부당해고’로 규정했다. 김 대표는 근로기준법 상 계약 해지 30일 전에 당사자에게 알려야 함에도 아무런 예고 없이 계약 만료 당일인 지난 19일 홍보마케팅 부장 A씨의 계약을 해지했다. 이와 관련해 A부장은 노무사와 상담, 부당해고에 대한 법적 절차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합은 또 현재 진행중인 전시부장 등에 대한 인사위원회 역시 절차를 무시한 표적 인사위원회라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김 대표가 지난 8월 광주시에 요청한 ‘2020 광주비엔날레전시 연출 및 실행용역 계약건’에 대한 감사에 대해 자신이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자 지난 11월 내부 감사를 단행했고, 지난 16일 인사위원회를 개최하려했지만 이마저 적법한 절차를 밟지 않아 무산됐다는 주장이다.
조합원들은 성명서에서 “대표 부임 후 4년 동안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건 수직적 직위 구조에서 오는 직원들의 불안정한 근무방식과 언제든 해고될지 모른다는 반복된 학습 때문에 일어난 일”이라며 “대표이사 개인 관련 공간과 회사 프로젝트를 재단 행사와 연계하고, 원칙없는 조직운영과 기형적 인사 및 불투명한 면접심사위원회 구성 등으로 재단을 사유화 했다”고 주장했다.
노동조합 관계자는 “진정서에 재단 직원은 물론 퇴사자까지 직장 내 괴롭힘 전수조사를 실시해달라고 요구한 만큼 결과를 기다리며 직무에 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엔날레재단관계자는 “인사위원회는 비엔날레가 계속 연기되면서 미뤄진 것”이라며 “당초 잡힌 29일 인사위원회는 예정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미은 기자 mekim@kwangju.co.kr
조합은 지난 19일 단행된 홍보마케팅 부장의 계약해지 통보를 ‘노동법을 무시한 부당해고’로 규정했다. 김 대표는 근로기준법 상 계약 해지 30일 전에 당사자에게 알려야 함에도 아무런 예고 없이 계약 만료 당일인 지난 19일 홍보마케팅 부장 A씨의 계약을 해지했다. 이와 관련해 A부장은 노무사와 상담, 부당해고에 대한 법적 절차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가 지난 8월 광주시에 요청한 ‘2020 광주비엔날레전시 연출 및 실행용역 계약건’에 대한 감사에 대해 자신이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자 지난 11월 내부 감사를 단행했고, 지난 16일 인사위원회를 개최하려했지만 이마저 적법한 절차를 밟지 않아 무산됐다는 주장이다.
조합원들은 성명서에서 “대표 부임 후 4년 동안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건 수직적 직위 구조에서 오는 직원들의 불안정한 근무방식과 언제든 해고될지 모른다는 반복된 학습 때문에 일어난 일”이라며 “대표이사 개인 관련 공간과 회사 프로젝트를 재단 행사와 연계하고, 원칙없는 조직운영과 기형적 인사 및 불투명한 면접심사위원회 구성 등으로 재단을 사유화 했다”고 주장했다.
노동조합 관계자는 “진정서에 재단 직원은 물론 퇴사자까지 직장 내 괴롭힘 전수조사를 실시해달라고 요구한 만큼 결과를 기다리며 직무에 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엔날레재단관계자는 “인사위원회는 비엔날레가 계속 연기되면서 미뤄진 것”이라며 “당초 잡힌 29일 인사위원회는 예정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미은 기자 me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