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헌 원장의 톡톡 창업 이야기] 예비창업·초기창업패키지 선정전략
  전체메뉴
[조계헌 원장의 톡톡 창업 이야기] 예비창업·초기창업패키지 선정전략
2020년 07월 15일(수) 00:00
조계헌 한국지역산업연구원 원장
2020년 기준으로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은 16개 부처 90개 단위사업으로 구성됐으며 전체 예산은 1조4517억원이다. 특히 16개 부처 중 87%인 1조2610억원의 예산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부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은 크게 무상지원과 대출로 나뉜다. 예비창업자들이 가장 많이 신청하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창업지원사업은 주로 저금리의 대출이 주를 이루며 중소벤처기업부의 예비창업패키지 사업과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은 무상 지원의 형태다. 무상지원은 대출처럼 상환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무상으로 제공되는 지원금이다.

오늘은 2020년 상반기에 사업비가 이미 집행이 마무리 지으며 예비창업자와 초기 창업기업들의 모집이 끝났는데 다시 정부의 추경이 세워져서 하반기에 추가로 모집에 들어 갈 예정인 예비창업패키지 사업과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의 차이와 활용전략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자. 예비창업패키지사업은 예비창업자들의 원활한 창업사업화를 위해 사업화자금, 창업교육, 멘토링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신청자격은 사업공고일 이전까지 창업경험이 없거나 창업경험이 있어도 공고일 기준으로 폐업한 상태여서 신청자 명의의 사업자등록증이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 지원자금은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1인당 최대 1억원까지 가능하나 대개의 경우 평균 5000만원 내외의 지원을 받게 된다. 자부담금은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모집대상은 청년과 중장년으로 구분되며 청년창업자가 아무래도 중장년창업자 보다 조금 더 높은 비율로 선정된다. 1인 이상의 팀원을 구성해 팀창업 형태로 지원시 가산점이 부여된다. 주로 선정되는 아이템은 기술창업 중심이며 제조업이나 IT업, 서비스업 등이 주류를 이룬다. 지역별로 주관기관이 별도로 선정돼 운영되고 있는 광주의 경우 예비창업패키지사업의 모집 및 운영 주관기관은 광주창조경제혁신센터이고 전남의 경우에는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다.

다음은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은 창업 3년 이내의 초기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사업 안정화와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이다.신청자격은 사업 공고일 기준으로 창업 3년 이내 기업으로 대표자가 신청이 가능하다. 특히 대표자가 1회 창업한 경우 창업기간만 적합하면 신청자격이 되지만 2회 이상 창업한 경우는 조금은 더 까다로운 조건을 두어 신청자격 유무를 가린다. 지원자금은 최대 1억원이지만 대개의 경우 6000만원 내외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자부담 일명 대응자금은 30%이며 이 중 10% 현금, 20%는 현물이다. 주로 선정되는 아이템은 예비창업패키지와 유사하게 기술창업 분야가 주를 이룬다. 초기창업패키지 사업도 지역별로 주관기관이 선정됐는데 광주는 광주대학교와 전남대학교 기술지주회사이며 전남은 순천대학교다.

2020년 상반기 광주의 선정 경쟁률은 예비창업패키지 사업은 평균 7대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은 평균 7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신청 후 선정을 위해 예비창업자와 초기창업기업이 집중해야 할 부분은 5분 이내의 발표시간에 맞춰 신청사업의 사업성과 비전을 임팩트 있게 제시해야 한다. 프리젠테이션 발표방식인데 10~12장 이내의 사업계획서를 잘 구성하고 짜임새 있게 잘 만들어야 하며 충분한 발표연습을 거쳐 제한된 시간 내에 매끄러운 발표가 되도록 해야 한다. 특히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의위원들의 다양한 질문에 대비한 사전질문지와 논리적인 답변서를 작성해 답변 연습도 충분히 거치는 것이 좋다. 하반기 키워드는 비대면이다. 비대면 관련 사업의 신청이 선정에 매우 유리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측해본다.

<한국지역산업연구원 원장>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