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신안군 통합 급물살 타나
김종식 시장·박우량 군수 행정통합 공감
동일 생활권으로 서남권 도약 새로운 기회
동일 생활권으로 서남권 도약 새로운 기회
![]() 김종식(오른쪽) 목포시장과 박우량 신안군수가 지난 10일 목포해양대에서 열린 ‘신안·목포 행정 통합 토론회’에 참석, 통합에 공감하며 악수하고 있다. <목포시 제공> |
김종식 목포시장과 박우량 신안군수가 행정 통합에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목포시와 신안군의 통합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김 시장과 박 군수는 지난 10일 목포해양대학교 대강당에서 열린 ‘신안·목포 통합 토론회’에서 양 지역의 상생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통합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 시장은 “행정의 광역화는 시대적 소명”이라고 강조했고, 박 군수도 “사실상 하나의 생활권으로 양 지역이 상생하는 길”이라고 공감했다.
특히 박 군수는 “통합 추진이 조속하게 이뤄졌으면 한다. 빠르면 2022년 통합 시장이 선출될 수 있도록 이 토론회가 출발점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구체적 시기까지 언급했다.
박 군수는 “신안군과 목포시는 행정구역상 분리돼 있지만 사실상 하나의 생활권으로 끈끈하게 묶어져 있다”면서 양 지역의 역사적 동질성에서 통합의 명분을 찾았다.
신안군에 따르면 목포시 전체인구의 약 60%가 신안군이 고향이거나 연고가 있고, 2만3000여 가구의 신안 인구 약 40%가 목포에 집을 소유하고 있다. 또 신안군 공무원 800여명 중 90%가 목포가 생활권이며, 신안군에서 생산되는 연간 농·수산업 소득 8000억원의 소비처가 목포다.
김 시장은 “몸집이 커지면 거기에 맞게 새로운 옷을 맞춰 입어야 하고, 큰집을 지으려면 큰 집터가 필요하다”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통합을 주장했다.
이들 단체장은 “천사대교 개통 이후 관광분야가 활기를 띠는 등 서남권 도약의 새로운 기회를 맞고 있다”며 “이를 행정 통합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시장은 “서남권지역은 오랜 침체의 터널에서 벗어나 좋은 기회를 맞고 있다”면서 “성장의 가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지리적으로 동일한 생활권인 목포·신안을 하나로 묶기 위한 지역민의 힘과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군수도 “통합했을 때 통합시 인구가 30만명 이상으로 급성장할 것”이라며 “진정 상생하는 길이 무엇이고, 지역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고민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목포·신안·무안이 포함된 무안반도 통합은 지난 1994년 이후 6차례 추진됐으나 무안군이 지역정서를 무시한 일방적 추진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신안군도 가세하면서 번번이 무산됐다.
/목포=박종배 기자 pjb@kwangju.co.kr
김 시장과 박 군수는 지난 10일 목포해양대학교 대강당에서 열린 ‘신안·목포 통합 토론회’에서 양 지역의 상생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통합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특히 박 군수는 “통합 추진이 조속하게 이뤄졌으면 한다. 빠르면 2022년 통합 시장이 선출될 수 있도록 이 토론회가 출발점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구체적 시기까지 언급했다.
박 군수는 “신안군과 목포시는 행정구역상 분리돼 있지만 사실상 하나의 생활권으로 끈끈하게 묶어져 있다”면서 양 지역의 역사적 동질성에서 통합의 명분을 찾았다.
신안군에 따르면 목포시 전체인구의 약 60%가 신안군이 고향이거나 연고가 있고, 2만3000여 가구의 신안 인구 약 40%가 목포에 집을 소유하고 있다. 또 신안군 공무원 800여명 중 90%가 목포가 생활권이며, 신안군에서 생산되는 연간 농·수산업 소득 8000억원의 소비처가 목포다.
이들 단체장은 “천사대교 개통 이후 관광분야가 활기를 띠는 등 서남권 도약의 새로운 기회를 맞고 있다”며 “이를 행정 통합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시장은 “서남권지역은 오랜 침체의 터널에서 벗어나 좋은 기회를 맞고 있다”면서 “성장의 가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지리적으로 동일한 생활권인 목포·신안을 하나로 묶기 위한 지역민의 힘과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군수도 “통합했을 때 통합시 인구가 30만명 이상으로 급성장할 것”이라며 “진정 상생하는 길이 무엇이고, 지역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고민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목포·신안·무안이 포함된 무안반도 통합은 지난 1994년 이후 6차례 추진됐으나 무안군이 지역정서를 무시한 일방적 추진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신안군도 가세하면서 번번이 무산됐다.
/목포=박종배 기자 pjb@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