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미디어재단, 5·18전국시청자취재단 운영
![]() 5·18전국시청자취재단 서울팀이 오월추모제 현장을 취재하고 있다.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 제공> |
시청자미디어재단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센터장 박대식·이하 센터)가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전 국민의 마음에 오월 정신이 깃들게 하는 기획프로그램 ‘5·18전국시청자취재단’을 꾸렸다.
프로그램은 시청자미디어재단 산하 전국 10개 시청자미디어센터가 함께한다.
시청자미디어센터는 시청자들이 직접 만든 영상이 전파를 타도록 지원하고 있다. 센터는 최근 광주를 비롯한 지역 10개 센터(서울·인천·대전·부산·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에서 활동하고 있는 1인 제작자를 광주로 초대하고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행사, 5·18 역사유적지, 80년 오월을 함께 한 광주시민들을 영상에 담도록 지원하고 있다.
지난달 18일에는 경기취재단이 광주로 내려와 최근 새 단장을 마친 전일빌딩 245를 집중 조명했다. 245개의 헬기 총탄 자국이 80년 오월의 아픔을 그대로 보여주는 전일빌딩의 이모저모를 취재하고 80년 오월 사진전을 통해 당시 모습을 영상에 담았으며, 양동시장·주남마을·전남대·금남로 등 오월길도 다뤘다. 경기취재단이 촬영한 영상은 시청자참여프로그램을 통해 경기지역 전역에 방송될 예정이다.
서울취재단은 ‘20년 오월 서울 그리고 광주’라는 제목으로 서울에서 열리고 있는 5·18 40주년 사진전을 영상에 담았다. 지난 27일에는 광주를 찾아 옛 전남도청을 취재했으며, 30일에는 국립5·18민주묘지를 돌며 80년 오월을 되짚었다.
5·18전국시청자취재단이 취재한 영상은 각 지역 시청자참여프로그램으로 방송될 예정이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프로그램은 시청자미디어재단 산하 전국 10개 시청자미디어센터가 함께한다.
시청자미디어센터는 시청자들이 직접 만든 영상이 전파를 타도록 지원하고 있다. 센터는 최근 광주를 비롯한 지역 10개 센터(서울·인천·대전·부산·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에서 활동하고 있는 1인 제작자를 광주로 초대하고 5·18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행사, 5·18 역사유적지, 80년 오월을 함께 한 광주시민들을 영상에 담도록 지원하고 있다.
5·18전국시청자취재단이 취재한 영상은 각 지역 시청자참여프로그램으로 방송될 예정이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