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수자원공사에선] 전남본부는 조류 예방 총력
취수탑 조류유입 방지막
장마 기간중 영양물질 유입과 최근 폭염의 영향으로 전남지역 상수원에 조류(藻類)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한국수자원공사가 조류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전남지역본부(본부장 최홍규)는 조류증식 억제를 위해 취수탑 주변 조류유입 방지막 설치와 수중폭기를 가동하고 있다. 또한 관계기관과의 합동점검과 유역내 상시 수질오염 감시활동을 펴는 등 예방노력을 지속적으로 실시, 현재 광주·전남권 수질은 조류예보제 이하 수준의 ‘좋음’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달 지속된 장맛비로 광주·전남지역 주요 상수원인 주암댐과 장흥댐 등 4개댐에 유입된 부유물 2천700t의 수거를 완료했다.
일반적으로 조류는 장마철 이후 물속 질소, 인 등 영양물질의 농도가 높고 수온과 일조량이 증가하면 나타난다.
최홍규 본부장은 “앞으로 수온 상승과 일조량 증가로 조류 발생시 신속한 제거를 위해 황토 및 응집제 등 방제장비를 확보하고 황토살포 모의훈련 실시, 댐내 주요지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등 지속적인 상수원 관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송기동기자 song@
한국수자원공사 전남지역본부(본부장 최홍규)는 조류증식 억제를 위해 취수탑 주변 조류유입 방지막 설치와 수중폭기를 가동하고 있다. 또한 관계기관과의 합동점검과 유역내 상시 수질오염 감시활동을 펴는 등 예방노력을 지속적으로 실시, 현재 광주·전남권 수질은 조류예보제 이하 수준의 ‘좋음’을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류는 장마철 이후 물속 질소, 인 등 영양물질의 농도가 높고 수온과 일조량이 증가하면 나타난다.
최홍규 본부장은 “앞으로 수온 상승과 일조량 증가로 조류 발생시 신속한 제거를 위해 황토 및 응집제 등 방제장비를 확보하고 황토살포 모의훈련 실시, 댐내 주요지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등 지속적인 상수원 관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