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맨발걷기’ 72곳, 정기 유해성 검사 ‘0’…토양 안전성 확보 시급
최근 3년 중금속 기준 초과 14곳 확인됐는데도 예산·점검 공백…“조례 이행부터 시작해야”
![]() |
맨발로 걷는 산책로가 72곳까지 늘었지만 정기 유해성 검사는 한 차례도 없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토양과 직접 접촉하는 특성상 카드뮴·납 등 중금속 위해를 선제 점검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더불어민주당 최지현(광산구 1선거구)시의원은 지난 10일 보건환경연구원 행정사무감사에서 “맨발 산책로는 시민 피부와 토양이 바로 맞닿는 공간으로, 조성보다 안전 관리가 먼저”라며 “엄격한 환경안전 기준과 상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토양환경보전법에 따라 매년 오염우려지역 100여 곳을 조사하고 공원 내 어린이놀이시설도 포함해 왔는데, 보건환경연구원이 최근 3년(2023~2025년) 조사에서 총 14개소에서 카드뮴·납 등 기준 초과를 확인한 사실을 근거로 들었다.
최 의원은 “매년 기준 초과 지점이 발생하는 현실을 감안하면 공원·완충녹지에 들어선 맨발 산책로 역시 의무 조사대상으로 편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제정된 ‘광주시 맨발걷기 환경조성에 관한 조례’ 제5조가 맨발 산책로의 정기 유해성 검사와 시장의 이행 확인을 명시하고 있음에도, 현재까지 정기 검사는 ‘0건’이고 내년도 예산에도 검사비가 반영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안전 기준의 상향도 요청했다.
최 의원은 “어린이·노약자 등 취약계층 이용이 잦은 특성상 토양오염우려기준 1지역 수준의 적용을 검토해야 한다”며 “자치구와 관련 부서가 합동으로 조사 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며, 기준 초과 시 즉시 정화 조치를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조례 이행이 멈춰선 상태에서 시설만 늘려선 안 된다. 시민이 안심하고 맨발로 자연을 누릴 수 있게 제도와 예산을 동시에 움직여 달라”고 덧붙였다.
한편 광주시는 현재 맨발걷기 산책로 72곳을 운영 중이며, 토양오염 실태조사는 매년 오염우려지역 100여 곳을 대상으로 지속 중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토양과 직접 접촉하는 특성상 카드뮴·납 등 중금속 위해를 선제 점검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더불어민주당 최지현(광산구 1선거구)시의원은 지난 10일 보건환경연구원 행정사무감사에서 “맨발 산책로는 시민 피부와 토양이 바로 맞닿는 공간으로, 조성보다 안전 관리가 먼저”라며 “엄격한 환경안전 기준과 상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매년 기준 초과 지점이 발생하는 현실을 감안하면 공원·완충녹지에 들어선 맨발 산책로 역시 의무 조사대상으로 편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제정된 ‘광주시 맨발걷기 환경조성에 관한 조례’ 제5조가 맨발 산책로의 정기 유해성 검사와 시장의 이행 확인을 명시하고 있음에도, 현재까지 정기 검사는 ‘0건’이고 내년도 예산에도 검사비가 반영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최 의원은 “어린이·노약자 등 취약계층 이용이 잦은 특성상 토양오염우려기준 1지역 수준의 적용을 검토해야 한다”며 “자치구와 관련 부서가 합동으로 조사 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며, 기준 초과 시 즉시 정화 조치를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조례 이행이 멈춰선 상태에서 시설만 늘려선 안 된다. 시민이 안심하고 맨발로 자연을 누릴 수 있게 제도와 예산을 동시에 움직여 달라”고 덧붙였다.
한편 광주시는 현재 맨발걷기 산책로 72곳을 운영 중이며, 토양오염 실태조사는 매년 오염우려지역 100여 곳을 대상으로 지속 중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