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3명 대상 ‘집합+연수’ 통합…광주시, 부동산 거래사고 예방교육 27~30일
전세사기 범죄 차단·중개 신뢰 회복 겨냥…실무 중심 4과목, 자치구별 하루 6시간 운영
![]() 광주시청 전경. <광주시 제공> |
광주시가 공인중개사 교육 체계를 한데 묶어 실효성을 높인다.
22일 광주시에 따르면 27~30일 나흘간 광주교통문화연수원 대강당에서 지역 개업 및 소속 공인중개사 1483명을 대상으로 ‘부동산 거래사고 예방 및 연수(집합) 교육’을 통합 시행한다.
광주지역에는 9월 말 기준 개업 공인중개사 3535명, 소속 공인중개사 564명 등 4099명이 등록돼 있다.
공인중개사는 개업 또는 고용 전 1년 이내 실무교육을 받은 뒤 2년마다 연수교육을 의무 이수해야 하며, 그동안 광주시는 공인중개사법 제45조에 따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교육을 위탁해왔다.
이번 통합교육은 시가 자체 추진해 온 ‘거래사고 예방교육’과 위탁 실시 중인 ‘연수교육(집합)’을 연계해 현장 대응력을 끌어올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전세사기 등 사회적 피해가 커지는 상황에서 중개 현장의 도덕성과 전문성을 동시에 강화해 사전 차단 효과를 높이겠다는 취지다.
교육 대상은 2023년 실무 및 연수 교육을 이수한 공인중개사로, 사전 이수해야 하는 연수(사이버) 6시간을 마친 뒤 집합교육에 참여하게 된다.
집합교육은 자치구별로 편성해 하루 6시간 과정으로 진행하며, 현장에서 곧바로 적용 가능한 실무형 콘텐츠로 구성했다.
교육과정은 전세사기 피해 예방, 부동산전자계약 활용법, 거래사고 예방 사례, 중개실무 향상교육 등 네 가지 주제로 전문 강사진이 직접 강의한다.
시는 사례 기반 교육과 전자계약 실습을 통해 계약 단계별 점검 포인트와 책임 한계를 명확히 하고, 반복·유사 사고를 줄이는 표준 절차 준수를 강조할 계획이다.
김기호 광주시 토지정보과장은 “이번 교육을 통해 공인중개사들이 투명하고 안전한 거래문화 정착에 앞장설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법령과 실무 교육 기회를 지속 확대해 시민이 신뢰하는 중개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22일 광주시에 따르면 27~30일 나흘간 광주교통문화연수원 대강당에서 지역 개업 및 소속 공인중개사 1483명을 대상으로 ‘부동산 거래사고 예방 및 연수(집합) 교육’을 통합 시행한다.
광주지역에는 9월 말 기준 개업 공인중개사 3535명, 소속 공인중개사 564명 등 4099명이 등록돼 있다.
이번 통합교육은 시가 자체 추진해 온 ‘거래사고 예방교육’과 위탁 실시 중인 ‘연수교육(집합)’을 연계해 현장 대응력을 끌어올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전세사기 등 사회적 피해가 커지는 상황에서 중개 현장의 도덕성과 전문성을 동시에 강화해 사전 차단 효과를 높이겠다는 취지다.
집합교육은 자치구별로 편성해 하루 6시간 과정으로 진행하며, 현장에서 곧바로 적용 가능한 실무형 콘텐츠로 구성했다.
교육과정은 전세사기 피해 예방, 부동산전자계약 활용법, 거래사고 예방 사례, 중개실무 향상교육 등 네 가지 주제로 전문 강사진이 직접 강의한다.
시는 사례 기반 교육과 전자계약 실습을 통해 계약 단계별 점검 포인트와 책임 한계를 명확히 하고, 반복·유사 사고를 줄이는 표준 절차 준수를 강조할 계획이다.
김기호 광주시 토지정보과장은 “이번 교육을 통해 공인중개사들이 투명하고 안전한 거래문화 정착에 앞장설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법령과 실무 교육 기회를 지속 확대해 시민이 신뢰하는 중개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