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 ‘수소도시 조성’ 공모 최종 선정
전남, 광양 이어 두번째…수소 산업 경쟁력 확보 ‘탄력’
영암이 수소도시로 조성된다.
30일 전남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2026년 제 4기 수소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공모를 진행한 결과, 영암군을 최종 선정했다.
수소도시 조성사업은 정부 주도로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도시 모델을 구축, 수소 인프라를 확충하고 생활 전반에 적용하는 대표적인 수소경제 육성 사업이다.
전남에서는 광양에 이어 두 번째로 선정된 것으로, 호남권에서 2개 이상 선정된 지자체는 전남이 처음이다.
영암의 수소 도시 선정으로 전남의 수소 산업 경쟁력 확보 및 인프라 확충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수소도시 육성을 위해 영암 삼포지구에 3년간 국비 115억원 등 350억원을 투입, 농업부산물로 수소를 생산·공급하는 환경친화적인 수소 도시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농업부산물 기반 수소 생산은 유럽·미국 등 50여 개국에서 이미 상용화된 기술로, 국내에서는 영암에서 첫 상용화를 추진한다.
왕겨·볏짚·무화과 줄기 등 전남의 풍부한 농업부산물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청정수소 산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게 된다.
왕겨·볏짚 등 농업부산물을 활용해 연간 730t의 청정수소를 생산하고 1.7㎞ 수소 배관을 구축, 인근 아파트와 삼포지구 숙박시설에 연료전지 발전설비를 설치한다.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관용차 7대를 수소차로 전환하고 수소버스스(2대)도 도입한다.
수소 생산·이송·활용 전 과정을 실시간 감시하는 맞춤형 통합 안전 시스템을 구축, 사고 대응력을 강화해 도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 최우선 수소도시를 만들 계획이다.
전남도는 내년 3월까지 수소도시 종합계획과 세부시설 실시설계를 완료한다. 2029년까지 사업을 마무리해 수소선도 도시로 입지를 확고히 할 방침이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30일 전남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2026년 제 4기 수소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공모를 진행한 결과, 영암군을 최종 선정했다.
수소도시 조성사업은 정부 주도로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도시 모델을 구축, 수소 인프라를 확충하고 생활 전반에 적용하는 대표적인 수소경제 육성 사업이다.
영암의 수소 도시 선정으로 전남의 수소 산업 경쟁력 확보 및 인프라 확충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수소도시 육성을 위해 영암 삼포지구에 3년간 국비 115억원 등 350억원을 투입, 농업부산물로 수소를 생산·공급하는 환경친화적인 수소 도시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농업부산물 기반 수소 생산은 유럽·미국 등 50여 개국에서 이미 상용화된 기술로, 국내에서는 영암에서 첫 상용화를 추진한다.
왕겨·볏짚 등 농업부산물을 활용해 연간 730t의 청정수소를 생산하고 1.7㎞ 수소 배관을 구축, 인근 아파트와 삼포지구 숙박시설에 연료전지 발전설비를 설치한다.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관용차 7대를 수소차로 전환하고 수소버스스(2대)도 도입한다.
수소 생산·이송·활용 전 과정을 실시간 감시하는 맞춤형 통합 안전 시스템을 구축, 사고 대응력을 강화해 도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 최우선 수소도시를 만들 계획이다.
전남도는 내년 3월까지 수소도시 종합계획과 세부시설 실시설계를 완료한다. 2029년까지 사업을 마무리해 수소선도 도시로 입지를 확고히 할 방침이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