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광주시당 시의원 10명 ‘운명의 날’
‘밀실 쪽지 투표’ 징계 확정…내년 지방선거 출마 자격 직결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 윤리심판원이 ‘밀실 쪽지 투표’ 담합 의혹을 받은 광주시의회 의원 10명에 대한 징계 수위를 10일 오후 5시 회의에서 확정한다.
지난 5일 개별 소명 절차를 마무리한 데 이어 곧바로 결론 도출 단계에 들어가면서 중징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민주당 광주시당 관계자는 “소명은 이미 마쳤고 결론은 이날 회의에서 다룬다”며 “위원 9명 모두에게 참석을 통보한 상태”라고 밝혔다.
앞서 광주시당 윤리심판원은 지난 5일 오후 4시부터 밤늦게까지 의원 10명 전원을 불러 소명과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당시에는 결정을 내리지 않고 차기 회의로 넘겼다. 윤리심판원은 9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경징계는 출석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할 수 있으나 당원 자격 정지나 제명 같은 중징계는 재적 과반수, 최소 5명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이번 사안은 민주당 의원들이 예산결산특별위원장 선출을 두고 공식 절차 밖에서 쪽지 투표를 했다는 의혹에서 비롯됐다.
특히 위원장에는 무소속 의원, 부위원장에는 국민의힘 의원이 뽑히면서 파장이 커졌다. 동일 사유로 10명이 한꺼번에 징계 심사 대상이 된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징계 수위는 경고에서 당원·당직 자격 정지, 제명까지 다양할 수 있다. 특히 자격 정지 1년 내외의 중징계를 받을 경우 내년 6월 지방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나설 수 없게 된다. 이번 징계결정은 최근 이어진 의원 비위 논란 속에 당내 기강 확립 의지를 보여주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집단 징계라는 사안의 무게, 당헌·당규상 의결 요건, ‘제 식구 감싸기’ 우려 차단 등을 감안할 때 일부 의원에 대한 중징계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지난 5일 개별 소명 절차를 마무리한 데 이어 곧바로 결론 도출 단계에 들어가면서 중징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민주당 광주시당 관계자는 “소명은 이미 마쳤고 결론은 이날 회의에서 다룬다”며 “위원 9명 모두에게 참석을 통보한 상태”라고 밝혔다.
당시에는 결정을 내리지 않고 차기 회의로 넘겼다. 윤리심판원은 9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경징계는 출석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할 수 있으나 당원 자격 정지나 제명 같은 중징계는 재적 과반수, 최소 5명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이번 사안은 민주당 의원들이 예산결산특별위원장 선출을 두고 공식 절차 밖에서 쪽지 투표를 했다는 의혹에서 비롯됐다.
징계 수위는 경고에서 당원·당직 자격 정지, 제명까지 다양할 수 있다. 특히 자격 정지 1년 내외의 중징계를 받을 경우 내년 6월 지방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나설 수 없게 된다. 이번 징계결정은 최근 이어진 의원 비위 논란 속에 당내 기강 확립 의지를 보여주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집단 징계라는 사안의 무게, 당헌·당규상 의결 요건, ‘제 식구 감싸기’ 우려 차단 등을 감안할 때 일부 의원에 대한 중징계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