엇갈린 유통법 대선공약…“대형마트 일요일 열까 쉴까”
이, 전통시장 인근 출점 5년 연장 vs 김, 의무휴업 자율화 입장
대형마트 “이커머스 확대 등 유통환경 변화 제대로 대응 못해”
대형마트 “이커머스 확대 등 유통환경 변화 제대로 대응 못해”
![]() /클립아트코리아 |
유통업계가 6·3 조기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 후보들의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 공약에 주목하고 있다. 유통법 관련 공약에 ‘대형마트 의무휴업일’과 지난해 티메프 사태 등에 따른 ‘온라인플랫폼공정화법’ 등이 담겼기 때문이다.
28일 정치권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등이 담긴 유통법에 대한 시각이 엇갈린다.
2012년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을 보호한다며 개정한 유통법에 따라 대형마트는 매월 두 번 휴업하고 영업시간도 제한하고 있지만, 이커머스 확대 등 유통환경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다는 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이재명 후보는 대선 공약으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공휴일로 한정하는 대신 전통시장 반경 1㎞ 내 대형 슈퍼마켓(SSM) 출점을 5년 연장하는 법안 등 대형마트 업계에 대한 규제 강화 입장을 내세웠다.
반면 김 후보는 대형마트들의 의무휴업 자율화 등 규제 완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대형마트 업계도 유통법 개정 당시 쿠팡 등 온라인 플랫폼이 발달하지 않았던 환경에서는 전통시장 및 지역경제를 위해 적절했던 규제였지만, 이커머스가 확대한 현 상황에서는 규제 완화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실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기적으로 게시하는 유통업계 조사에서 국내 유통업계에서 온라인 채널이 차지하는 비중이 2023년 기준 50.4%로 오프라인을 앞질렀고,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또 쿠팡이 분기마다 최대 실적을 갱신하고, 업계 매출 1위에 올라서는 동안 대형마트 ‘빅3’으로 불렸던 홈플러스는 지속되는 업황 악화로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다른 대형마트 역시 손실을 소폭 회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광주의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쿠팡과 카카오 등 온라인 플랫폼이 대세가 된 지금, 대형마트가 휴업한다고 해서 그 소비층들이 전통시장이나 집 앞 마트를 간다고 볼 수 없다”며 “지점별로 휴일을 평일로 조정하는 등 임시방편 마련은 가능하지만, 향후 규제가 더욱 강화된다면 업계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28일 정치권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등이 담긴 유통법에 대한 시각이 엇갈린다.
이와 관련해 이재명 후보는 대선 공약으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을 공휴일로 한정하는 대신 전통시장 반경 1㎞ 내 대형 슈퍼마켓(SSM) 출점을 5년 연장하는 법안 등 대형마트 업계에 대한 규제 강화 입장을 내세웠다.
대형마트 업계도 유통법 개정 당시 쿠팡 등 온라인 플랫폼이 발달하지 않았던 환경에서는 전통시장 및 지역경제를 위해 적절했던 규제였지만, 이커머스가 확대한 현 상황에서는 규제 완화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실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기적으로 게시하는 유통업계 조사에서 국내 유통업계에서 온라인 채널이 차지하는 비중이 2023년 기준 50.4%로 오프라인을 앞질렀고,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또 쿠팡이 분기마다 최대 실적을 갱신하고, 업계 매출 1위에 올라서는 동안 대형마트 ‘빅3’으로 불렸던 홈플러스는 지속되는 업황 악화로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다른 대형마트 역시 손실을 소폭 회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광주의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쿠팡과 카카오 등 온라인 플랫폼이 대세가 된 지금, 대형마트가 휴업한다고 해서 그 소비층들이 전통시장이나 집 앞 마트를 간다고 볼 수 없다”며 “지점별로 휴일을 평일로 조정하는 등 임시방편 마련은 가능하지만, 향후 규제가 더욱 강화된다면 업계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