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금남로서 전야제…1박 2일 행사
18일 오전 10시 5·18 45주년 기념식
기념식 주제 ‘함께, 오월을 쓰다’
이주호 대행·국회의원 등 참석
기념식 주제 ‘함께, 오월을 쓰다’
이주호 대행·국회의원 등 참석
![]() 금남로, 5·18 행사 준비 한창
오는 17일에 있을 5·18 민주화운동 전야행사를 앞두고 15일 광주시 동구 금남로 일대의 도로가 통제된 채 무대 설치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10시 광주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다.
기념식에는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비롯해 여·야 국회의원, 정부 인사, 각계 대표, 학생 등 25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올해 기념식 주제는 ‘함께, 오월을 쓰다’로, 1980년 5월 민주주의를 현재의 우리가 함께 기억하고, 기록하고, 계승한다는 의미가 담겼다. 세대·지역·이념을 초월해 국민 모두가 민주주의의 가치를 공유하고 계승하겠다는 메시지도 담겨 있다.
기념식은 경과보고, 여는 공연, 기념사, 기념영상 상영, 대합창,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등 순서로 45여분동안 진행된다.
경과보고는 공법단체 5·18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에서 추천한 5·18 유공자의 2세 등 ‘미래 세대’가 낭독할 예정이다.
여는 공연에서는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에 대한 내용이 다뤄지며, 기념영상은 노벨상 수상자 한강 작가의 5·18을 다룬 책 ‘소년이 온다’의 주인공 동호의 모티브인 문재학 열사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다루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합창에는 광주시립교향악단과 나주시 어린이합창단이 함께할 예정으로 전해졌다.
기념식에 앞서 17일에는 광주시 동구 금남로를 중심으로 ‘5·18 전야제’ 행사가 열린다. 올해는 기존 오후 10시께 끝나던 기념행사를 1박 2일로 확장해 이튿날 밤 9시까지 행사가 이어진다.
이날 오전 11시부터는 5·18민주광장, 동구 금남로1~3가 차 없는 거리, 동구 중앙로 일대에서 시민참여 거리부스, 오월연극제, 민주주의 대합창, 민주미술 전시 등 ‘시민난장’이 열린다.
전일빌딩245에서는 5·18을 알려온 광주의 대표 극단들의 ‘오월연극제’가 열리며, 5·18민주광장 특설무대에서는 오후 4~6시 부산, 안산, 서울과 광주의 각종 합창단이 함께 국가폭력과 재난 참사 희생자들의 아픔을 노래하는 ‘민주주의 대합창’이 공연된다.
오후 4시부터는 각계각층의 시민들이 참여해 1980년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금남로로 횃불행진 했던 민족민주화성회를 재현하는 ‘민주평화대행진’이 진행된다.
오후 5시부터는 5·18기념행사의 꽃인 ‘전야제’가 열리며, ‘환영의 대축제’, ‘민주주의 대축제’, ‘빛의 대축제’ 등 주제에 따라 3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밤 9시 30분부터는 금남로와 5·18민주광장에서 시민들과 함께하는 집단 놀이 ‘대동 한마당’과 디제잉, 버스킹, 토론, 마당극으로 채워지는 심야 행사 ‘잠 못드는 밤’도 펼쳐진다. 인근 중앙초에서는 316개 텐트를 치고 하룻밤을 보내는 ‘오월 텐트촌’ 행사도 열린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기념식에는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비롯해 여·야 국회의원, 정부 인사, 각계 대표, 학생 등 25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올해 기념식 주제는 ‘함께, 오월을 쓰다’로, 1980년 5월 민주주의를 현재의 우리가 함께 기억하고, 기록하고, 계승한다는 의미가 담겼다. 세대·지역·이념을 초월해 국민 모두가 민주주의의 가치를 공유하고 계승하겠다는 메시지도 담겨 있다.
경과보고는 공법단체 5·18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에서 추천한 5·18 유공자의 2세 등 ‘미래 세대’가 낭독할 예정이다.
여는 공연에서는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에 대한 내용이 다뤄지며, 기념영상은 노벨상 수상자 한강 작가의 5·18을 다룬 책 ‘소년이 온다’의 주인공 동호의 모티브인 문재학 열사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다루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념식에 앞서 17일에는 광주시 동구 금남로를 중심으로 ‘5·18 전야제’ 행사가 열린다. 올해는 기존 오후 10시께 끝나던 기념행사를 1박 2일로 확장해 이튿날 밤 9시까지 행사가 이어진다.
이날 오전 11시부터는 5·18민주광장, 동구 금남로1~3가 차 없는 거리, 동구 중앙로 일대에서 시민참여 거리부스, 오월연극제, 민주주의 대합창, 민주미술 전시 등 ‘시민난장’이 열린다.
전일빌딩245에서는 5·18을 알려온 광주의 대표 극단들의 ‘오월연극제’가 열리며, 5·18민주광장 특설무대에서는 오후 4~6시 부산, 안산, 서울과 광주의 각종 합창단이 함께 국가폭력과 재난 참사 희생자들의 아픔을 노래하는 ‘민주주의 대합창’이 공연된다.
오후 4시부터는 각계각층의 시민들이 참여해 1980년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금남로로 횃불행진 했던 민족민주화성회를 재현하는 ‘민주평화대행진’이 진행된다.
오후 5시부터는 5·18기념행사의 꽃인 ‘전야제’가 열리며, ‘환영의 대축제’, ‘민주주의 대축제’, ‘빛의 대축제’ 등 주제에 따라 3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밤 9시 30분부터는 금남로와 5·18민주광장에서 시민들과 함께하는 집단 놀이 ‘대동 한마당’과 디제잉, 버스킹, 토론, 마당극으로 채워지는 심야 행사 ‘잠 못드는 밤’도 펼쳐진다. 인근 중앙초에서는 316개 텐트를 치고 하룻밤을 보내는 ‘오월 텐트촌’ 행사도 열린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