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주년 5·18 전야제 ‘1박 2일’ 열린다
행사위, 텐트 500개 설치 ‘민주주의 대축제’로
45주년 5·18 광주민중항쟁 기념행사가 1박 2일에 걸쳐 펼쳐진다.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행사위)는 17일 오전 11시 광주시 동구 전일빌딩 245에서 간담회를 열고 5·18 45주년 행사 세부 일정을 공개했다.
올해 행사는 ‘새로운 세상을 여는 민주주의 대축제’를 주제로 5·18정신 헌법전문 수록을 포함한 민주주의 공고화 모색 등을 목표로 열린다.
특히 기존 오후 10시께 끝나던 기념행사를 1박 2일로 확장해 이튿날 밤 9시까지 행사가 이어질 계획이다.
17일 오후 1시부터 금남로 곳곳에서 시민난장이 펼쳐지며, 오후 4시부터는 5·18 당시 ‘민족민주화성회’를 재현하는 ‘민주평화대행진’을 한다.
행사의 하이라이트인 전야제는 17일 오후 5시부터 시작하며 ‘환영의 대축제’, ‘민주주의 대축제’, ‘빛의 대축제’ 등 주제에 따라 3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1부는 풍물패 공연 ‘오월길맞이굿’부터 수만 명 시민이 행진하는 ‘금남로 입성대회’, 플래시몹과 오월 어머니들의 공연 등을 볼 수 있는 ‘광주공동체 환영공연’으로 이어진다.
2부는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이 씻김과 승화를 주제로 한 공연 ‘진혼’으로 막을 올린다. 특별 제작 뮤지컬 ‘시간의 노래’와 합동 공연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오월 민주선언’ 등으로 채워진다.
끝으로 3부는 스카웨이커스, 퍼포밍 스피치, 백금렬과 촛불밴드, 이은미 등의 공연을 볼 수 있다.
밤 9시 30분부터는 금남로와 5·18민주광장에서 시민들과 함께하는 집단 놀이 ‘대동 한마당’, 새벽 0시부터 2시간 동안은 디제잉, 버스킹, 토론, 마당극으로 채워지는 심야 행사 ‘잠 못드는 밤’도 펼쳐진다. 이와 발맞춰 중앙초 운동장에는 텐트 500여 개를 설치해 시민들이 하룻밤을 지낼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행사 장소도 기존 5·18민주광장과 금남로 1~3가를 넘어 금남로4가, NC웨이브 앞, 중앙초 앞까지 확장된다. 금남로4가 사거리에는 4면이 뚫려 있는 주 무대가 설치된다.
한편 이번 행사에서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 공로자회를 제외한 5·18부상자회와 유족회, 5·18기념재단 등 5·18 관련 단체는 행사위원장단에 불참한다.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행사위)는 17일 오전 11시 광주시 동구 전일빌딩 245에서 간담회를 열고 5·18 45주년 행사 세부 일정을 공개했다.
올해 행사는 ‘새로운 세상을 여는 민주주의 대축제’를 주제로 5·18정신 헌법전문 수록을 포함한 민주주의 공고화 모색 등을 목표로 열린다.
17일 오후 1시부터 금남로 곳곳에서 시민난장이 펼쳐지며, 오후 4시부터는 5·18 당시 ‘민족민주화성회’를 재현하는 ‘민주평화대행진’을 한다.
행사의 하이라이트인 전야제는 17일 오후 5시부터 시작하며 ‘환영의 대축제’, ‘민주주의 대축제’, ‘빛의 대축제’ 등 주제에 따라 3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1부는 풍물패 공연 ‘오월길맞이굿’부터 수만 명 시민이 행진하는 ‘금남로 입성대회’, 플래시몹과 오월 어머니들의 공연 등을 볼 수 있는 ‘광주공동체 환영공연’으로 이어진다.
끝으로 3부는 스카웨이커스, 퍼포밍 스피치, 백금렬과 촛불밴드, 이은미 등의 공연을 볼 수 있다.
밤 9시 30분부터는 금남로와 5·18민주광장에서 시민들과 함께하는 집단 놀이 ‘대동 한마당’, 새벽 0시부터 2시간 동안은 디제잉, 버스킹, 토론, 마당극으로 채워지는 심야 행사 ‘잠 못드는 밤’도 펼쳐진다. 이와 발맞춰 중앙초 운동장에는 텐트 500여 개를 설치해 시민들이 하룻밤을 지낼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행사 장소도 기존 5·18민주광장과 금남로 1~3가를 넘어 금남로4가, NC웨이브 앞, 중앙초 앞까지 확장된다. 금남로4가 사거리에는 4면이 뚫려 있는 주 무대가 설치된다.
한편 이번 행사에서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 공로자회를 제외한 5·18부상자회와 유족회, 5·18기념재단 등 5·18 관련 단체는 행사위원장단에 불참한다.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