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GM 노조·군공항 이전 쟁점…초등 학부모 10시 출근 호평
행안위, 광주시 국정감사
지스트 교수·학생 유출 문제 지적
지스트 교수·학생 유출 문제 지적
![]() 22일 오전 광주시 서구 광주시청 중회의실에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국정 감사가 열리고 있다. /나명주 기자mjna@kwangju.co.kr |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광주시를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광주형 일자리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 군·민간 공항 통합 이전, 정율성 역사공원 등 지역 현안이 도마에 올랐다. 광주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심야 어린이 병원과 중소기업 초등 학부모 10시 출근제 등은 여러 의원으로부터 호평을 받기도 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22일 광주시청 중회의실에서 3시간여 광주시를 상대로 국정 감사를 벌였다.
광주형 상생 일자리 모델인 GGM 노동자들이 노조에 참가한 것을 두고는 설왕설래가 이어졌다.
국민의힘 배준영(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 의원은 “(GGM 노동자들이) 누적 생산 대수 35만대를 넘기 전까지 노조에 참여하지 않기로 한 약속을 깨고 민주노총 금속노조에 가입했다”며 “(파업 의결) 찬반 투표가 85.97%로 가결됐고, 협상 결과에 따라 파업을 하게 되면 결국 현대차는 위탁 생산을 철회하고 상생형 일자리는 문을 닫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노사 간 협의가 잘 안돼서 파업 의결을 했지만 최근 다시 노사 간 합의가 됐다”며 “표결해 놓은 파업은 없었던 걸로 됐기 때문에 파업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본소득당 용혜인(비례) 의원은 “5년 전 협약에 적정 연봉 기준이 3500만원인데, 협약 내용에 ‘임금 인상은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겠다’고 명시돼 있다”며 “현재 소비자 물가 지수를 두고 계산하면 적정 연봉은 4900만원이 넘는다. 최저시급 인상률만큼도 못 따라가고 있는데, (광주시가) 함께 책임을 고민해달라”고 꼬집었다.
광주 군·민간 공항 통합 이전에 대해 전남도·무안군과의 소통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대구 출신 국민의힘 이달희(비례) 의원은 “대구·경북(통합 신공항)에 비춰보면 강기정 시장의 ‘플랜B’는 무안군민에게 협박으로 느껴진다”며 “‘함흥차사다’, ‘양심 불량이다’, ‘무안군수는 막힌 행정을 하고 있다’ 등 사이다 발언이 때로는 행정의 충돌을 가져온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런 ‘사이다 발언’은 군민 입장에서 ‘총알’을 받는 느낌이다. 대도시 기관단체장이 군수님들과 협의할 때는 다 내려놓고 설득하는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해 논란을 빚은 정율성 역사공원 사업을 비판하고 나섰다.
김종양(경남 창원시의창) 의원은 “북의 앞잡이가 돼 남침한, 적국에 기여한 사람을 광주에서 추모하는 게 맞나”라며 “정율성이라는 이름을 지우고 한중 문화 교류재단이라든지 협력사업 장소로 활용하면 되지 않느냐”고 물었다.
강 시장은 “이게 정말 문제라면 노태우 정부부터 감사패를 줬던 것도 사과하고 취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 한중 우호 관계에서 시작된 선의로운 사업인 만큼 수차례 정부에 ‘광주시가 알아서 할 테니 맡겨달라’고 말했다”고 강조했다.
광주시가 인공지능(AI) 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학생 유출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국민의힘 김상욱(울산 남구갑) 의원은 “광주 AX 실증밸리 조성과 관련해 물리적인 걸 만든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사람이 들어와야 한다”며 “AI 사업은 결국 사람을 확보하지 못하면 자리 잡지 못한다. AI 영재고 추진도 그 연장선이듯, GIST 교수진·학생 유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광주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심야 어린이 병원과 중소기업 초등 학부모 10시 출근제 등은 여러 의원으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민주당 채현일(서울 영등포구갑) 의원은 광주시가 전국 최초로 시행한 공공심야어린이병원, 중소기업 초등 학부모 10시 출근제 등을 언급하며 “최근 의료 대란으로 응급실 가기가 두렵고, 공무원과 달리 일반 중소기업 근로자들에겐 근무 중 육아 시간 정책이 없다”며 “지금 대한민국의 큰 문제는 저출생이고, 광주시가 가장 혁신에 앞서고 있다”고 칭찬했다.
한편 의원들은 이날 긴장이 흐르는 국감 현장 속에서도 광주 태생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과 KIA 타이거즈의 정규 시즌 우승을 축하 하는 등 훈훈한 분위기를 보이기도 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광주형 상생 일자리 모델인 GGM 노동자들이 노조에 참가한 것을 두고는 설왕설래가 이어졌다.
국민의힘 배준영(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 의원은 “(GGM 노동자들이) 누적 생산 대수 35만대를 넘기 전까지 노조에 참여하지 않기로 한 약속을 깨고 민주노총 금속노조에 가입했다”며 “(파업 의결) 찬반 투표가 85.97%로 가결됐고, 협상 결과에 따라 파업을 하게 되면 결국 현대차는 위탁 생산을 철회하고 상생형 일자리는 문을 닫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기본소득당 용혜인(비례) 의원은 “5년 전 협약에 적정 연봉 기준이 3500만원인데, 협약 내용에 ‘임금 인상은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겠다’고 명시돼 있다”며 “현재 소비자 물가 지수를 두고 계산하면 적정 연봉은 4900만원이 넘는다. 최저시급 인상률만큼도 못 따라가고 있는데, (광주시가) 함께 책임을 고민해달라”고 꼬집었다.
광주 군·민간 공항 통합 이전에 대해 전남도·무안군과의 소통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대구 출신 국민의힘 이달희(비례) 의원은 “대구·경북(통합 신공항)에 비춰보면 강기정 시장의 ‘플랜B’는 무안군민에게 협박으로 느껴진다”며 “‘함흥차사다’, ‘양심 불량이다’, ‘무안군수는 막힌 행정을 하고 있다’ 등 사이다 발언이 때로는 행정의 충돌을 가져온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런 ‘사이다 발언’은 군민 입장에서 ‘총알’을 받는 느낌이다. 대도시 기관단체장이 군수님들과 협의할 때는 다 내려놓고 설득하는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해 논란을 빚은 정율성 역사공원 사업을 비판하고 나섰다.
김종양(경남 창원시의창) 의원은 “북의 앞잡이가 돼 남침한, 적국에 기여한 사람을 광주에서 추모하는 게 맞나”라며 “정율성이라는 이름을 지우고 한중 문화 교류재단이라든지 협력사업 장소로 활용하면 되지 않느냐”고 물었다.
강 시장은 “이게 정말 문제라면 노태우 정부부터 감사패를 줬던 것도 사과하고 취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 한중 우호 관계에서 시작된 선의로운 사업인 만큼 수차례 정부에 ‘광주시가 알아서 할 테니 맡겨달라’고 말했다”고 강조했다.
광주시가 인공지능(AI) 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학생 유출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국민의힘 김상욱(울산 남구갑) 의원은 “광주 AX 실증밸리 조성과 관련해 물리적인 걸 만든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사람이 들어와야 한다”며 “AI 사업은 결국 사람을 확보하지 못하면 자리 잡지 못한다. AI 영재고 추진도 그 연장선이듯, GIST 교수진·학생 유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광주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심야 어린이 병원과 중소기업 초등 학부모 10시 출근제 등은 여러 의원으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민주당 채현일(서울 영등포구갑) 의원은 광주시가 전국 최초로 시행한 공공심야어린이병원, 중소기업 초등 학부모 10시 출근제 등을 언급하며 “최근 의료 대란으로 응급실 가기가 두렵고, 공무원과 달리 일반 중소기업 근로자들에겐 근무 중 육아 시간 정책이 없다”며 “지금 대한민국의 큰 문제는 저출생이고, 광주시가 가장 혁신에 앞서고 있다”고 칭찬했다.
한편 의원들은 이날 긴장이 흐르는 국감 현장 속에서도 광주 태생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과 KIA 타이거즈의 정규 시즌 우승을 축하 하는 등 훈훈한 분위기를 보이기도 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