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농민, 쌀값 대책 수립·양곡법 개정안 통과 촉구
![]() |
광주·전남지역 농민들이 정부와 지자체에 쌀값 폭락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쌀값 하락세가 멈추질 않고 있는 상황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함에 따라 파산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광주시농민회와 영암군농민공동행동은 4일 오전 각각 광주시청과 영암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폭락하는 쌀값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농민들은 “정부는 쌀 한 가마(80㎏) 가격이 20만원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난 8월 쌀값은 이미 17만원대까지 폭락했다”며 “본격적 수확에 들어서면 쌀값은 생산비에도 미치지 못해 부채를 감당하지 못하고 파산하는 농가가 부지기수로 늘어날 것”이라고 호소했다.
이어 농민들은 “쌀값 폭락의 원인은 농민의 과잉생산이나 쌀 소비 감소가 아니라 수입 쌀과 정부 재고미 정책의 실패 때문”이라면서 “정부가 40만8000t의 외국 쌀을 의무 수입하는 탓에 공급과 수요 사이에 균형이 깨지고 쌀값 폭락이 반복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농민들은 윤석열 대통령이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한데에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농민단체들은 공공비축미 물량 확대, 쌀 수입 중단, 양곡관리법 개정안 통과, 지자체의 농민 지원 등을 요구했다.
한편 영암군농민공동행동은 오는 10일 정부에 쌀값 보장을 요구하며 ‘논 갈아엎기’와 집단 삭발 등의 ‘영암농민 총궐기’를 진행할 예정이다.
/글·사진=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쌀값 하락세가 멈추질 않고 있는 상황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함에 따라 파산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광주시농민회와 영암군농민공동행동은 4일 오전 각각 광주시청과 영암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폭락하는 쌀값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농민들은 “쌀값 폭락의 원인은 농민의 과잉생산이나 쌀 소비 감소가 아니라 수입 쌀과 정부 재고미 정책의 실패 때문”이라면서 “정부가 40만8000t의 외국 쌀을 의무 수입하는 탓에 공급과 수요 사이에 균형이 깨지고 쌀값 폭락이 반복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농민단체들은 공공비축미 물량 확대, 쌀 수입 중단, 양곡관리법 개정안 통과, 지자체의 농민 지원 등을 요구했다.
한편 영암군농민공동행동은 오는 10일 정부에 쌀값 보장을 요구하며 ‘논 갈아엎기’와 집단 삭발 등의 ‘영암농민 총궐기’를 진행할 예정이다.
/글·사진=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