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질주’ KIA 김도영 “상대 견제? 내 장점으로 이긴다!”
30-30 욕심없다...승리에 집중
두 자릿수 홈런 벌써 달성
부상없이 시즌 완주하고파
두 자릿수 홈런 벌써 달성
부상없이 시즌 완주하고파
![]() 4월 뜨거운 타격으로 KBO ‘월간 10-10’의 첫 주인공이 된 KIA 김도영이 꾸준함으로 팀 승리를 위해 달린다. |
김도영은 김도영이다.
KIA 타이거즈의 뜨거웠던 4월의 중심에는 김도영이 있었다.
김도영은 4월 25경기에 나와 104타수 40안타, 0.415의 타율을 기록했다. 10개의 공을 담장 밖으로 날린 김도영은 14도루도 기록하면서 KBO리그에 없던 ‘월간 10-10’이라는 새로운 기록의 주인공이 됐다.
25타점도 수확한 김도영은 “노력한 것들이 결과로 나온 것 같다. ‘월간 10-10’은 최초라는 점에서 기쁘지만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그래도 나름 첫 기록이라는 점에서 좋게 생각하고 있다”며 “타점을 많이 한 게 의미 있다. 또 많은 관중 앞에서 진짜 재미있게 야구한 것 같다. 재미도 있고, 긴장감도 있었다”고 뜨거웠던 4월을 이야기했다.
다른 결과가 나오고 있지만 김도영 자체가 달라진 것은 아니다. KIA는 광주 동성고 김도영이 가지고 있는 차원이 다른 힘과 스피드에 주목하면서 타이거즈 마지막 1차 지명 선수로 그의 이름을 호명했었다.
그리고 마음껏 뛸 수 있는 판이 깔리자 김도영이 가지고 있던 것들을 표출하기 시작한 것이다.
김도영은 “캠프 때 (부상 때문에) 연습을 더 많이 한 것도 아니고 솔직히 왜 잘나오는 건지 모르겠다. 그래도 노력한 만큼 나오는 것 같다. 또 작년 경험을 토대로 생각도 많이 하고 하니까 적응했다고 보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부상으로 훈련량은 부족했지만 지난 시즌 경험을 바탕으로 준비한 것들이 결과로 나오고 있다. ‘병살타’도 김도영이 신경 썼던 부분 중 하나다. 김도영의 타구 스피드가 워낙 빠르기 때문에 땅볼 타구가 병살타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지난 시즌 김도영은 14개의 병살타를 기록했지만, 올 시즌 4월까지 김도영의 병살타는 ‘0’.
김도영은 “작년에 병살타로 스트레스도 받았고 팬들한테도 모진 소리도 들었다(웃음). 그래서 올해는 처음부터 신경 썼다. 1루에 주자 있으면 더 생각하고, 캠프 때부터 더 띄워서 치기도 했다”며 “노력한 게 결과로 나오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빈틈없는 타격이 이어지면서 김도영은 지난 4월 24일 키움전에서는 ‘고의사구’로 걸어 나가기도 했다.
김도영은 “큰 것 노리고 들어갔었다. 큰 것 의식하면서 들어갔는데 아쉬우면서도 좋았다. 볼넷이 많이 없기 때문에 좋기도 했다”고 이야기했다.
무시무시한 타구 스피드로 담장을 넘기며 힘을 과시하고 있는 김도영은 지난 28일 LG전에서는 또 다른 무기도 보여줬다.
이날 김도영은 2점 차로 뒤지고 있던 7회 무사 1·2루에서 기습 번트로 안타를 만들어내면서 경기장을 뒤집었다. 김도영의 빠른 발에 당황한 상대의 실수가 나오면서 주도권을 쥔 KIA는 연이은 상대의 실수로 10-7 재역전극을 펼쳤다.
승리를 부른 이 장면은 김도영에게도 ‘영감’을 줬다.
김도영은 “사인이 나서 댔는데 해보니까 시도해 볼 만한 것 같다. 확실히 그런 플레이를 하니까 분위기도 사는 것 같다. 그냥 평범한 안타를 쳤다면 그렇게 됐을까라는 생각도 든다. 확실히 뛰면서 파이팅 넘치는 플레이를 하니까 더 좋은 것 같다. 앞으로도 기습 번트 많이 대려고 한다. 잊고 있었다”며 “상대 수비를 앞으로 당겨놓고 치면 좋은 결과도 나올 것 같고 자주 시도해 보겠다. 상대가 변화구로 내 약점을 찾았다고 하는데 나도 나만의 것을 찾았다. 그렇게 상대 견제에서 빠져나가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뜨거운 4월을 보냈지만 앞으로의 시즌이 더 중요하다. 김도영의 활약에 상대도 더 집요하게 분석을 하면서 대처하고 있고, 타격 사이클도 있다.
김도영은 “공이 수박만 하게 보였는데 공이 줄어들었다. 뜨거웠던 감이 끝이 났다(웃음) 그래도 올해는 타격 기복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좋은 감이 오래 이어졌던 점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며 “상대가 많이 분석을 하고 대비를 하는 게 느껴진다. 투수는 자기 것의 준비를 할 것이고 나고 준비했던 것 똑같이 하면 되니까 그렇게 어렵거나 힘든 것은 없는 것 같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남은 시즌 김도영의 목표는 ‘승리’다.
김도영은 “주변에서 30-30, 40-40 이야기들을 하시는데 그런 것에 욕심은 하나도 없다. 벌써 목표를 잃어버렸다. 두 자릿수 홈런 치는 게 목표였다. 솔로 홈런이 많았다. 그것은 아쉬웠다”며 “다른 목표 없이 다치지만 않으면 좋겠다. 팀이 많이 이기는 데 신경 쓰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김여울 기자 wool@kwangju.co.kr
KIA 타이거즈의 뜨거웠던 4월의 중심에는 김도영이 있었다.
김도영은 4월 25경기에 나와 104타수 40안타, 0.415의 타율을 기록했다. 10개의 공을 담장 밖으로 날린 김도영은 14도루도 기록하면서 KBO리그에 없던 ‘월간 10-10’이라는 새로운 기록의 주인공이 됐다.
25타점도 수확한 김도영은 “노력한 것들이 결과로 나온 것 같다. ‘월간 10-10’은 최초라는 점에서 기쁘지만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그래도 나름 첫 기록이라는 점에서 좋게 생각하고 있다”며 “타점을 많이 한 게 의미 있다. 또 많은 관중 앞에서 진짜 재미있게 야구한 것 같다. 재미도 있고, 긴장감도 있었다”고 뜨거웠던 4월을 이야기했다.
김도영은 “캠프 때 (부상 때문에) 연습을 더 많이 한 것도 아니고 솔직히 왜 잘나오는 건지 모르겠다. 그래도 노력한 만큼 나오는 것 같다. 또 작년 경험을 토대로 생각도 많이 하고 하니까 적응했다고 보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부상으로 훈련량은 부족했지만 지난 시즌 경험을 바탕으로 준비한 것들이 결과로 나오고 있다. ‘병살타’도 김도영이 신경 썼던 부분 중 하나다. 김도영의 타구 스피드가 워낙 빠르기 때문에 땅볼 타구가 병살타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지난 시즌 김도영은 14개의 병살타를 기록했지만, 올 시즌 4월까지 김도영의 병살타는 ‘0’.
김도영은 “작년에 병살타로 스트레스도 받았고 팬들한테도 모진 소리도 들었다(웃음). 그래서 올해는 처음부터 신경 썼다. 1루에 주자 있으면 더 생각하고, 캠프 때부터 더 띄워서 치기도 했다”며 “노력한 게 결과로 나오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빈틈없는 타격이 이어지면서 김도영은 지난 4월 24일 키움전에서는 ‘고의사구’로 걸어 나가기도 했다.
김도영은 “큰 것 노리고 들어갔었다. 큰 것 의식하면서 들어갔는데 아쉬우면서도 좋았다. 볼넷이 많이 없기 때문에 좋기도 했다”고 이야기했다.
무시무시한 타구 스피드로 담장을 넘기며 힘을 과시하고 있는 김도영은 지난 28일 LG전에서는 또 다른 무기도 보여줬다.
이날 김도영은 2점 차로 뒤지고 있던 7회 무사 1·2루에서 기습 번트로 안타를 만들어내면서 경기장을 뒤집었다. 김도영의 빠른 발에 당황한 상대의 실수가 나오면서 주도권을 쥔 KIA는 연이은 상대의 실수로 10-7 재역전극을 펼쳤다.
승리를 부른 이 장면은 김도영에게도 ‘영감’을 줬다.
김도영은 “사인이 나서 댔는데 해보니까 시도해 볼 만한 것 같다. 확실히 그런 플레이를 하니까 분위기도 사는 것 같다. 그냥 평범한 안타를 쳤다면 그렇게 됐을까라는 생각도 든다. 확실히 뛰면서 파이팅 넘치는 플레이를 하니까 더 좋은 것 같다. 앞으로도 기습 번트 많이 대려고 한다. 잊고 있었다”며 “상대 수비를 앞으로 당겨놓고 치면 좋은 결과도 나올 것 같고 자주 시도해 보겠다. 상대가 변화구로 내 약점을 찾았다고 하는데 나도 나만의 것을 찾았다. 그렇게 상대 견제에서 빠져나가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뜨거운 4월을 보냈지만 앞으로의 시즌이 더 중요하다. 김도영의 활약에 상대도 더 집요하게 분석을 하면서 대처하고 있고, 타격 사이클도 있다.
김도영은 “공이 수박만 하게 보였는데 공이 줄어들었다. 뜨거웠던 감이 끝이 났다(웃음) 그래도 올해는 타격 기복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좋은 감이 오래 이어졌던 점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며 “상대가 많이 분석을 하고 대비를 하는 게 느껴진다. 투수는 자기 것의 준비를 할 것이고 나고 준비했던 것 똑같이 하면 되니까 그렇게 어렵거나 힘든 것은 없는 것 같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남은 시즌 김도영의 목표는 ‘승리’다.
김도영은 “주변에서 30-30, 40-40 이야기들을 하시는데 그런 것에 욕심은 하나도 없다. 벌써 목표를 잃어버렸다. 두 자릿수 홈런 치는 게 목표였다. 솔로 홈런이 많았다. 그것은 아쉬웠다”며 “다른 목표 없이 다치지만 않으면 좋겠다. 팀이 많이 이기는 데 신경 쓰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김여울 기자 wo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