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노인 일자리 10만명 모집한다
광주 4~15일, 전남 20일까지 접수…월 29만∼76만원 지급
![]() 노인 일자리 참여자들이 고흥 유자 베이커리에서 빵을 만들고 있다. <전남도 제공> |
광주시와 전남도가 2024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 3만2370명, 6만4000명을 각각 모집한다. 전남도는 지난해보다 7000명이 늘어난 수치다.
광주시는 4일부터 15일까지, 전남도는 20일까지 ‘2024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를 모집한다.
광주시는 2024년 노인일자리사업에 1344억원을 투입해 5개 자치구와 5개 시니어클럽 등 65개 일자리 수행기관에서 3만2370명의 어르신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게 된다. 분야별 모집인원은 노노케어 등 공익활동형 사업 2만4054명, 보육시설보조 등 사회서비스형 사업 4652명, 매장운영 등 시장형 사업 2495명, 민간업체 취업알선형 사업 1169명이다.
전남도는 공익활동형,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취업알선형 등 4개 유형으로 구분되며, 사업비는 올해보다 548억원 증가한 2592억원이 투입된다.
광주와 전남 모두 공익활동형은 65세 이상 기초연금을 받고 있는 어르신이며, 사회서비스형은 65세 이상(일부 60세 이상), 시장형과 취업알선형은 60세 이상 어르신이 대상이다.
공익활동 참여자는 월 30시간(1일 3시간 이내) 활동하고 활동비 29만원을 지급받게 되며, 사회서비스형은 월 60시간 근무하고 76만1000원의 임금을 받는다.
시장형·취업알선형 사업 참여자는 근로계약에 따라 급여가 별도 책정된다.
다만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기초수급자(생계급여), 장기요양등급 판정자를 비롯해 정부부처나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일자리사업 등에 2개 이상 참여 중이면 참여가 제한된다.
손수지 광주시 고령사회정책과장은 “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일자리 사업을 통해 어르신들의 건강과 일상을 지키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광주시는 4일부터 15일까지, 전남도는 20일까지 ‘2024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를 모집한다.
광주시는 2024년 노인일자리사업에 1344억원을 투입해 5개 자치구와 5개 시니어클럽 등 65개 일자리 수행기관에서 3만2370명의 어르신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게 된다. 분야별 모집인원은 노노케어 등 공익활동형 사업 2만4054명, 보육시설보조 등 사회서비스형 사업 4652명, 매장운영 등 시장형 사업 2495명, 민간업체 취업알선형 사업 1169명이다.
광주와 전남 모두 공익활동형은 65세 이상 기초연금을 받고 있는 어르신이며, 사회서비스형은 65세 이상(일부 60세 이상), 시장형과 취업알선형은 60세 이상 어르신이 대상이다.
시장형·취업알선형 사업 참여자는 근로계약에 따라 급여가 별도 책정된다.
다만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기초수급자(생계급여), 장기요양등급 판정자를 비롯해 정부부처나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일자리사업 등에 2개 이상 참여 중이면 참여가 제한된다.
손수지 광주시 고령사회정책과장은 “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일자리 사업을 통해 어르신들의 건강과 일상을 지키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