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럼피스킨병 확산 차단’ 총력
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목포 등 10개 위험지역 백신 조기 공급
![]() 지난 29일 무안의 한 한우농장에서 럼피스킨병이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이날 오후 확산을 막기 위해 전남도 방역팀들이 있는 한우를 안락사 시킨 후 처분을 위해 대형 차량에 싣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
무안 한우농장에서 발생한 럼피스킨병 확산 방지에 비상이 걸렸다.
30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9일 방역대책본부를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격상해 가동하는 등 확산 방지 및 조기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남도는 또 애초 공급 일정(31일)을 당겨 무안을 포함한 이른바 ‘서해안 벨트 10개 위험지역에 29만 마리 분량의 백신을 29일까지 우선 공급하는 한편, 31일 나머지 전 시·군에 공급해 조속히 접종을 완료하기로 했다.
10개 위험지역은 목포, 나주, 강진, 해남, 영암, 무안, 함평, 영광, 진도, 신안이다.
전남도는 신속한 백신 접종을 위해 백신접종반도 당초보다 64명 늘어난 338명(119개 반)으로 확대하고 자가 접종농가 등에 백신 접종 요령 등을 사전 교육했다. 백신은 근육접종을 하는 구제역 백신과 다르게 반드시 피하에 접종해야 한다. 백신 제조사에 따라 접종 용량(1~2㎖)이 다르다.
전남도는 또 무안을 포함해 인근지역인 목포, 나주, 영암, 함평의 소 농장으로 소 생축 반·출입을 금지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백신접종을 신속히 완료하고 백신접종 후 항체형성(3주) 전까지는 농장 출입차량·사람 출입통제와 농장 소독 등 차단방역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30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9일 방역대책본부를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격상해 가동하는 등 확산 방지 및 조기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남도는 또 애초 공급 일정(31일)을 당겨 무안을 포함한 이른바 ‘서해안 벨트 10개 위험지역에 29만 마리 분량의 백신을 29일까지 우선 공급하는 한편, 31일 나머지 전 시·군에 공급해 조속히 접종을 완료하기로 했다.
전남도는 신속한 백신 접종을 위해 백신접종반도 당초보다 64명 늘어난 338명(119개 반)으로 확대하고 자가 접종농가 등에 백신 접종 요령 등을 사전 교육했다. 백신은 근육접종을 하는 구제역 백신과 다르게 반드시 피하에 접종해야 한다. 백신 제조사에 따라 접종 용량(1~2㎖)이 다르다.
전남도는 또 무안을 포함해 인근지역인 목포, 나주, 영암, 함평의 소 농장으로 소 생축 반·출입을 금지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