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D-1년, 화두는 ‘공천 혁신’
尹정부 중간평가·정국 주도권 좌우…여야, 사활 건 승부
입지자들 물밑 경쟁 치열…호남 민심 ‘전략적 선택’ 주목
입지자들 물밑 경쟁 치열…호남 민심 ‘전략적 선택’ 주목
![]() /클립아트코리아 |
22대 총선(내년 4월10일)을 앞두고 정치권 시계의 초침이 점차 빨라지고 있다. 벌써 전국 각 지역구에서는 수성에 나선 현역 국회의원들과 기득권의 장벽을 넘어서기 위한 입지자들의 물 밑 경쟁전이 치열해지고 있다. 내년 총선은 윤석열 정부의 중간평가 성격을 띠고 있는데다 정국 주도권은 물론 차기 대선에도 결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여야는 사활을 건 총력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호남 민심의 향배에도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진보 진영의 심장 역할을 했던 호남 민심의 정치적 역동성에 따라 차기 총선 지형이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서진(西進)정책’ 등을 통해 호남에서 최소 1~2석의 정치적 교두보를 확보한다는 방침인데 반해 더불어민주당은 호남 석권을 바탕으로 22대 총선에서도 과반 의석 이상을 확보, 원내 제1당의 위치를 사수한다는 목표다.
하지만, 호남 민심은 아직까지 정중동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 이면에는 정쟁의 구도를 벗어나지 못하는 거대 양당과 지역 정치권에 대한 실망감이 자리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 등 여권에 대해선 집권 세력으로서 국민 통합을 바탕으로 한 제대로 된 미래 비전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적 기류가 거세다. 호남을 정치적 기반으로 하고 있는 민주당도 대선과 지방선거 패배에도 불구, 제1야당으로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냉랭한 평가를 받고 있다. 여기에 광주·전남 등 호남 정치권도 과감한 도전을 통한 미래 좌표를 제시하지 못하고 정치적 변방에 머무르면서 호남 민심의 역량을 결집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 실시된 여론조사에서는 호남의 무당층이 20~30%대로 집계되는 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 또 총선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 지방선거에서 모집된 호남지역 권리당원들이 무더기로 이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대로 가다가는 내년 총선에서도 지난 지방선거와 민주당 전당대회 투표율에 근접하는 낮은 투표율이 재연되지 않느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변화와 혁신을 이끄는 호남 민심의 역동성 약화로 이어지면서 호남 정치의 변방·종속화가 가속되는 정치적 ‘빈곤의 악순환’마저 우려되고 있다.
정치권에선 내년 총선의 화두로 ‘공천 혁신’을 꼽고 있다. 거대 양당에 대한 국민적 실망감이 크다는 점에서 기존의 기득권 구조를 허물고 새로운 변화를 상징하는 공천 혁신 없이는 국민적 지지를 얻기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국민의힘이 윤심(윤석열 대통령 심중)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민심의 눈높이에 부합하는 혁신 공천을 이뤄낼 것인지는 미지수다. 민주당도 사법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는 이재명 대표 체제에서 현역 뱃지들의 반발을 이겨내고 혁신 공천을 밀어붙일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민주당 지도부도 그동안 혁신 공천안보다는 기존의 시스템 공천을 강조해왔다. 결국, 거대 양당은 혁신 경쟁을 통해 동력을 마련하기보다 적대적 공생 관계에 기대 내년 총선을 치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를 반영하듯, 정치권 일각에서는 벌써부터 민심의 실망감을 바탕으로 한 ‘제3지대론’이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지역 정치권에선 민주당의 총선 승리는 공천 혁신에 대한 호남 민심의 공감에서 시작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호남에서 시작된 ‘민주당 바람’이 수도권으로 확산돼야 민주당의 전국적 지지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당장,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이 민주당 혁신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우선 선당후사를 명분으로 이번 사태와 관련된 국회의원들의 불출마 선언을 이끌어내고 현역 의원들에 대한 경선 기득권 최소화, 분야와 시대를 대표하는 비례대표 인재 풀 조성 등 시대를 이끌 수 있는 혁신적 조치를 선제적으로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총선에서 세력 교체를 이룬 호남 정치권이 아직 중앙 정치에 굳건한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호남 민심의 보다 세심한 ‘전략적 선택’도 요구되고 있다. 과거와 같은 ‘묻지마’식의 지지나 물갈이보다는 정치적 가능성이 입증된 현역들을 중진으로 육성하는 한편 될 성부른 신진들을 잘 골라내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기존 정치권에 대한 민심의 실망감이 크다는 점에서 내년 총선은 혁신과 변화의 바람이 승부를 가를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며 “사법리스크에 휩싸여 있는 민주당이 호남 민심이 공감할 수 있는 공천 혁신을 통해 차기 총선의 주도권을 장악할 것인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
하지만, 호남 민심은 아직까지 정중동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 이면에는 정쟁의 구도를 벗어나지 못하는 거대 양당과 지역 정치권에 대한 실망감이 자리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와 국민의힘 등 여권에 대해선 집권 세력으로서 국민 통합을 바탕으로 한 제대로 된 미래 비전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적 기류가 거세다. 호남을 정치적 기반으로 하고 있는 민주당도 대선과 지방선거 패배에도 불구, 제1야당으로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냉랭한 평가를 받고 있다. 여기에 광주·전남 등 호남 정치권도 과감한 도전을 통한 미래 좌표를 제시하지 못하고 정치적 변방에 머무르면서 호남 민심의 역량을 결집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치권에선 내년 총선의 화두로 ‘공천 혁신’을 꼽고 있다. 거대 양당에 대한 국민적 실망감이 크다는 점에서 기존의 기득권 구조를 허물고 새로운 변화를 상징하는 공천 혁신 없이는 국민적 지지를 얻기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국민의힘이 윤심(윤석열 대통령 심중)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민심의 눈높이에 부합하는 혁신 공천을 이뤄낼 것인지는 미지수다. 민주당도 사법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는 이재명 대표 체제에서 현역 뱃지들의 반발을 이겨내고 혁신 공천을 밀어붙일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민주당 지도부도 그동안 혁신 공천안보다는 기존의 시스템 공천을 강조해왔다. 결국, 거대 양당은 혁신 경쟁을 통해 동력을 마련하기보다 적대적 공생 관계에 기대 내년 총선을 치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를 반영하듯, 정치권 일각에서는 벌써부터 민심의 실망감을 바탕으로 한 ‘제3지대론’이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지역 정치권에선 민주당의 총선 승리는 공천 혁신에 대한 호남 민심의 공감에서 시작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호남에서 시작된 ‘민주당 바람’이 수도권으로 확산돼야 민주당의 전국적 지지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당장,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이 민주당 혁신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우선 선당후사를 명분으로 이번 사태와 관련된 국회의원들의 불출마 선언을 이끌어내고 현역 의원들에 대한 경선 기득권 최소화, 분야와 시대를 대표하는 비례대표 인재 풀 조성 등 시대를 이끌 수 있는 혁신적 조치를 선제적으로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총선에서 세력 교체를 이룬 호남 정치권이 아직 중앙 정치에 굳건한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호남 민심의 보다 세심한 ‘전략적 선택’도 요구되고 있다. 과거와 같은 ‘묻지마’식의 지지나 물갈이보다는 정치적 가능성이 입증된 현역들을 중진으로 육성하는 한편 될 성부른 신진들을 잘 골라내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기존 정치권에 대한 민심의 실망감이 크다는 점에서 내년 총선은 혁신과 변화의 바람이 승부를 가를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며 “사법리스크에 휩싸여 있는 민주당이 호남 민심이 공감할 수 있는 공천 혁신을 통해 차기 총선의 주도권을 장악할 것인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