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비속어 공방…민주 “대통령 사과”·국힘 “언론 왜곡 탓”
  전체메뉴
尹 비속어 공방…민주 “대통령 사과”·국힘 “언론 왜곡 탓”
與 정언유착 주장하며 역공
尹 “사실과 다른 보도로 동맹 훼손”
언론노조·기협 “언론 탓 말라”
2022년 09월 26일(월) 21:40
여당과 대통령실이 26일 윤석열 대통령의 뉴욕방문 기간 ‘욕설·비속어 논란’을 ‘언론 탓’과 ‘야당과의 정언유착’으로 몰아가며 대대적인 역공세를 폈다.

특히 윤 대통령이 이날 오전 출근길에 취재진의 관련 질문에 “논란이라기보다는…”이라며 “사실과 다른 보도로서 동맹을 훼손하는 것은 국민을 위험에 빠뜨리는 일”이라고 밝힌 뒤 야권과 언론을 향한 공세는 더욱 거세지고 있다.

대통령실은 이날 윤 대통령의 뉴욕 방문 기간 불거진 ‘비속어 발언’ 논란에 대해 “순방외교와 같은 국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총성 없는 전쟁에서 허위 보도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악영향”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의 출근길 문답(도어스테핑) 발언에 대해 이같이 부연했다.

이 부대변인은 “더욱이 동맹을 희생하는 것은 국민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일”이라며 “그 피해자는 다름 아닌 국민이라는 점이 (윤 대통령이) 강조하고 싶었던 메시지”라고 덧붙였다.

국민의힘은 이날 MBC의 조작·왜곡이며 더불어민주당과의 ‘정언유착’이라고 강도 높게 비난하며 윤 대통령의 ‘비속어 논란’을 ‘가짜뉴스’ 프레임으로 몰아가며 야권에 공세를 폈다.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MBC는) 확인되지도 않은 대통령 발언을 기정사실로 만들었다. 그 과정에 보도 윤리에 따른 최소한의 사실관계 확인도 없었다”고 비판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도 비대위 회의에서 MBC를 향해 “(윤 대통령 워딩에) 자의적이고 자극적인 자막을 입혀 보도했다”고 지적했고, 전주혜 비대위원도 “부정확한 내용을 단정적으로 보도한, 공영방송임을 포기한 처사”라고 거들었다.

주 원내대표는 또 “(당시 윤 대통령 옆에 있던) 박진 외교부 장관이 ‘우리 국회가 잘 협조를 해서 통과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한 전후 맥락”을 들어 “MBC가 의도적이고 악의적으로 (편집)했을 확률이 대단히 높다”고 주장했다.

잡음 탓에 뚜렷하게 들리지 않지만, 맥락상 ‘이XX들’이 미국 의회가 아닌 우리나라 야당을 지칭했으리라는 게 분명한데도 MBC가 ‘바이든’이라는 자막을 넣어 시청자의 인식체계를 왜곡했다는 설명인 셈이다. 이처럼 ‘MBC의 잘못된 보도에서 이번 사태가 발단했다’는 여권 주류의 시각은 “사실과 다른 보도”라는 이날 윤 대통령의 출근길 문답 발언과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여기서 나아가 MBC와 민주당의 유착 의혹도 꺼내 들었다.

권성동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박 원내대표가 대통령의 뉴욕 발언을 공개적으로 비난한 시점은 (22일) 오전 9시33분이고 MBC의 관련 보도 시점보다 34분이 빠르다”며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하냐”고 따졌다.

이에 대해 전용기 민주당 원내대표 비서실장은 이날 긴급 입장문을 통해 “지난 22일 오전 문화방송 보도가 나가기 전에 대통령의 욕설 영상과 내용이 온라인상에 돌았던 건 대부분의 기자와 대통령실 대변인단도 알고 있는 사실이다”면서 “욕설 파문 진상 조사는 위장한 언론 탄압으로 규정될 것이며, 대통령과 국민의힘은 욕설 논란에 대해 진솔하게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이날 “어떤 사람을 욕하여 이르는 말인 ‘XX’가 한국 대통령 입에서 나왔는데 왜 사과하지 않는가. 그 ‘XX들’이 미국 국(의)회를 일컬었든 한국 더불어민주당을 가리켰든 욕한 걸 인정하고 용서를 빌어야 옳다”며 비속어 논란에 휩싸인 윤석열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했다.

한국기자협회도 이날 성명에서 “잘못을 언론 탓으로 몰아가고 있다”면서 “막말 논란으로 궁지에 몰린 정부와 여당이 지금 해야 할 것은 궁여지책으로 언론에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 아니라 의혹 논란으로 외교 위기를 자초한 대통령의 사과와 내부적으로 진실을 밝히려는 노력이 먼저”라고 요구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