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 차로 쓰레기 수거 문제없는데…규제가 발목 잡네
  전체메뉴
무인 차로 쓰레기 수거 문제없는데…규제가 발목 잡네
광주 우치공원서 전국 첫 무인쓰레기 수거차량 실증실험 현장 가보니
시속 5㎞ 주행하며 쓰레기 수거…장애물 인식 4~5m 앞에서 정지
카메라 7대 등 장착 관제센터와 실시간 소통…비상시 원격 조종
‘무인 차 도로 주행 금지’ 등 상용화 막는 관련 법규 개정 서둘러야
2022년 09월 25일(일) 21:00
광주에서 첫 발을 내딛는 무인 쓰레기 수거차량 실증사업이 실시된 지난 23일 북구 우치공원 방문객들이 무인 자동차를 보고 신기해하고 있다.
“아빠, 사람이 없는데 자동차가 움직여요”

지난 23일 광주시 북구 우치공원에 온 가족단위 관람객들은 무인으로 움직이는 자동차를 보며 신기해 했다. 한 어린이는 자동차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사람이 없는 운전석을 확인하기 위해 연신 뛰어올랐다.

이 자동차는 주거단지용 무인쓰레기 수거차량으로 이날 안전성을 검증하는 실증사업이 진행된 것이다. 0.5t급 자동차 실증사업은 광주에서 전국 최초로 진행된다는 것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25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따르면 광주시·중소벤처기업부와 공동으로 무인 저속 특장차사업을 진행 중이다. 주거단지용 무인쓰레기 수거차는 전기자동차로 시속 5㎞로 움직이며 쓰레기 수거에 나선다.

사람들이 있는 공간에서 실증사업이 진행되다 보니 관계자는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지 연신 촉각을 기울였다.

운행중인 차량 앞으로 사람이 튀어 나오는 경우 차량이 즉각 멈추는 지가 가장 중요한 점검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날 실증에서도 실험이 진행됐다. 한 연구자가 차량 앞으로 튀어 나오자 차량은 즉시 멈췄다.

차량이 멈추자 인근에서 구경하던 시민들은 ‘와’ 소리를 연발하며 탄성을 질렀다.

무인 특장차 개발에 참여한 황승리(29) 케이스랩 연구원은 “실증 사업을 진행하던 중 한 장애인이 갑자기 자동차 앞으로 뛰어 나온 적이 있었지만 센서가 제대로 작동해 시민 4~5m 앞에서 자동차가 멈췄다”고 자신있게 말했다.

이날 우치공원에서 안전성 검증을 한 무인쓰레기 수거차량에는 자율주행에 사용되는 카메라 7대와 4개의 레이더, 2개의 라이다가 장착됐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이용하고 레이더는 전파를 이용한다. 둘의 특성을 활용해 거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자동차에 설치된 7대의 카메라는 자율주행에 이용된다. 쓰레기와 사람을 식별하고, 5G 기술을 활용해 관제센터와 실시간으로 소통이 가능하다.

광주시 광산구 오룡동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남본부에 있는 자율주행 양방향 관제센터에는 7대의 카메라가 보내는 영상이 대형스크린에 실시간으로 나타난다.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관제센터의 조종실에서 원격으로 차량을 조정할 수 있다. 조종실은 실제 자동차 운전석을 방불케 했다. 핸들과 가속페달, 브레이크, 기어봉이 갖춰져 있고, 6대의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화면을 보며 운전이 가능하게 돼있다.

영상센터 관계자는 “영상 간 지연이 거의 없어 현장에 있는 사람과 가위바위보도 가능할 정도다” 라고 설명했다.

주거단지용 무인쓰레기 자동차가 상용화되면 기존 방식보다 효율적으로 쓰레기 수거가 가능할 것이라는 것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환경 미화원이 운전을 하다 자동차를 멈추고 내려서 쓰레기를 실었던 기존 방식과 달리, 미화원 한명이 걸어다니며 쓰레기를 무인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에 담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 상용화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김유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박사는 “기술 개발과 안전성 검증은 지난 수년간 해왔지만, 무엇보다 풀리지 않는 규제가 가장 큰 문제다”라고 말했다.

현재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50조에 따르면 중량 30kg 이상의 동력장치는 도시공원에 출입할 수 없다. 무인 쓰레기 수거차량이 상용화되더라도 해당 시행령에 의해 공원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셈이다.

도로교통법 제 48조, 제 49조, 제 50조도 무인자동차와 상충되는 면이 있다. 해당 법률에 따르면 도로교통법은 차량 사고시 책임 소재 등을 이유로 운전자의 탑승을 전제로 하고 있다. 사람이 타지 않는 무인자동차는 운전자를 특정할 수 없어 도로에서 운영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한편,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현재 무인 노면청소차, 산업단지용 무인폐기물 수거차, 무인 공공정보 수집차의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글·사진=천홍희 기자 strong@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