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성수품 공급 1.4배 확대…명절 물가 잡는다
  전체메뉴
추석 성수품 공급 1.4배 확대…명절 물가 잡는다
계란 한 판 7월 7500원→이달 6533원
조기 27%·밤 18%↓ 13대 품목 하락
마트 쌀 30% 할인 등 가격 안정 행사
2021년 09월 12일(일) 19:10
정부는 추석 물가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6대 성수품(쌀 제외) 공급상황을 일일 점검하면서 대응하고 있다. 추석을 앞둔 양동시장 모습.
추석 명절을 일주일 가량 앞두고 17대 성수품 가운데 13개 품목 가격이 지난달 말에 비해 내린 것으로 당국이 파악했다.

이 같은 내용은 지난 10일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이 주재한 ‘26차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발표됐다.

정부는 추석 물가를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난해보다 일주일 빠른 지난달 26일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수립·운영해왔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는 16대 성수품(쌀 제외) 공급상황을 일일 점검하면서 대응하고 있다.

집중 관리하는 추석 성수품은 배추, 무, 사과, 배, 밤, 대추, 소·돼지·닭고기, 계란, 명태, 물오징어, 갈치, 고등어, 조기, 마른멸치 등 16가지이다.

16대 성수품은 올해 3주 동안 비축·계약물량을 활용하고 수입을 확대하는 등 1.4배 규모로 공급된다. 지난해 대책 때는 2주 동안 평상시보다 1.3배 공급했다.

지난 9일 기준 16대 성수품은 2주 동안 11만5000t 공급되며 당초 누적 공급계획인 10만1000t 대비 114%의 달성률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달 30일과 비교하면 16대 성수품에 쌀을 포함한 17대 품목 중 13개 가격은 하락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특별 관리 중인 계란 가격은 지난 7월 하순 7500원대였지만 이달 9일 기준 6533원으로, 12.9%(-967원) 하락했다.

같은 기간 동안 무(-9.1%), 닭고기(-5.2%), 밤(-18.7%), 갈치(-11.6%), 조기(-27.1%)는 지난달 말에 비해 가격이 5% 이상 하락했고, 이는 지난해보다 낮은 수준이다.

다만 배추 가격은 전년보다 49.0%, 평년보다 14.6% 낮은 안정적 수준이지만 가을장마 영향으로 최근 들어 가격이 오르고 있다.

정부는 기상 악화에 따른 추가 가격 상승에 대응할 수 있도록 비축물량 1만t을 즉시 방출할 준비를 했다. 계란은 일 300만개 규모 수입란 공급을 지속하며 살처분 보상금 지급과 재입식을 조만간 마무리한다.

주요 수산물인 명태의 경우 정부 비축 6945t을 전량 방출하고 명절 일주일 전에는 할인율을 20%에서 30%로 상향하기로 했다. 현재 명태 가격은 지난해보다 2.2%, 평년보다 7.9% 높은 수준이다.

명절 수요와 국민지원금 소비 영향으로 가격 상승이 전망되는 축산물은 도축과 출하 집행을 최대치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지난달 도축 물량은 소 8만8000마리, 돼지 141만5000마리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9일 기준 소는 계획대비 37.1% 초과한 1만4536t, 돼지는 12.0% 초과한 3만8463t을 공급했다.

정부는 농가가 부담하는 소고기 도축수수료 15만원을 추석 직전인 18일까지 한시적으로 면제하기로 했다. 명절 전 소고기 공급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다. 이로써 당초 전망한 도축 1만5000마리 규모에서 수수료 면제를 통해 2만2000마리 수준까지 약 47% 늘린다는 방침이다. 소고기 공급량 증가율은 약 7~8%이 될 전망이다.

돼지고기는 이달 셋째 주부터 벨기에산 수입을 재개하는 등 수입을 평년 대비 5% 확대한다. 또 조기 출하와 주말 도축 등을 넓힌다.

지난해보다 가격이 14% 가량 오른 쌀은 기상악화가 겹쳐 가격 오름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대형마트와 협력해 추석 기간 동안 쌀 10~30% 할인 행사를 벌이기로 했다.

이외 농축수산물 할인권 지급(할인율 20~30%), 한우·한돈 할인 행사(20%),중소과일 특별 할인판매(10만세트, 20%), 수산물 할인행사(20~30%) 등 체감가격 안정노력도 추석 전까지 지속 추진한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