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문 싱크탱크’ 본격 활동 … 정치권 파장일 듯
  전체메뉴
‘친문 싱크탱크’ 본격 활동 … 정치권 파장일 듯
‘민주주의4.0연구원’ 오늘부터…현역 국회의원만 56명 참여
4차 산업혁명 등 정책 활동 방점…친문계 조직화 시동 시각도
2020년 11월 22일(일) 18:45
22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민주주의4.0 연구원 창립총회 및 제1차 심포지엄에서 도종환 이사장 겸 연구원장과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친문(친문재인)계 의원 50여명이 참여하는 매머드급 싱크탱크 ‘민주주의4.0연구원’이 22일 본격 활동에 들어가면서 대선 정국에도 파장을 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친문의 뚜렷한 대권주자가 나타나지 않는 상황에서 친문의 결집과 행보는 민주당 내 경선에서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최근 ‘정치적 부활’에 실패한 김경수 경남지사의 재판 이후 친문의 움직임에 당 안팎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지만 당내 대권주자들은 ‘단순한 정치 모임’이라며 선을 긋고 있다.

민주주의4.0연구원은 이날 오후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창립총회를 겸한 제1차 심포지엄을 열었다. 초대 이사장 겸 연구원장을 맡은 도종환 의원 등 민주당 소속 현역 의원 56명이 참여했다. 특히 ‘부엉이모임’의 홍영표, 전해철, 김종민 의원을 비롯해 이광재, 윤호중, 정태호, 김영배 의원 등 친문 주류들이 다 같이 이름을 올렸다.

이날 발제에 나선 정재승 KAIST 교수는 ‘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주제로 부동산 시장 대응, 기후변화 이슈, 기본소득 논의 등 사회안전망 구축 등과 관련한 정책 제언을 했다. 정재관 고려대 교수는 코로나 이후의 민주주의를, 이원재 LAB2050 대표는 성장 위주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을 주제로 각각 발제했다.

정치권에서는 내년 대선후보 경선 등 굵직한 정치 일정을 앞두고 친문계가 조직화에 시동을 거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당의 유력주자인 이낙연 대표와 이재명 경기지사의 지지율이 최근 20%대 초반의 ‘박스권’에 정체된 현상과 연결 짓는 시선도 있다. 자체 세력화한 친문계가 제3의 인물을 후보로 지원할 경우 대권 구도에 파장이 올 수 있다는 점에서다.

다만 한 핵심 관계자는 연구원에 대해 “탄핵 이후 높아진 주권자 의식과 4차 산업혁명, 코로나 시대로 인한 급격한 변화에 대해 논쟁하고 논의하기 위한 연구 단위”라며 “특정인을 위한 조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특정 주자를 지지할 것이라는 오해를 사거나 당내 ‘원팀’ 기조를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고려해 당분간은 정책 활동에 방점을 두고 활동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와 관련, 이낙연 민주당 대표는 앞선 광주일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고 김대중 대통령 임기 후반기에도 친DJ 포럼이 만들어졌다. 너무 (민주주의4.0연구원) 모임을 정치적인 눈으로 보면 해석이 안된다”면서 “내가 잘 아는 사람들도 다수 민주주의4.0연구원에 이름을 올렸다”고 밝혔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