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3명 독감백신 접종 후 사망
‘노환’ ‘심근경색’ 등 판정
보건당국, 백신 연관성 조사
보건당국, 백신 연관성 조사
![]() |
광주와 전남에서 고령자 3명이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접종 후 잇따라 숨졌다. 이들은 각각 민간병원에서 ‘노환’과 ‘심근경색’ 등으로 1차 사망원인 판정을 받았으나 보건당국은 독감 백신 접종과 사망 사이 연관성을 조사 중이다.
광주·전남을 비롯한 전국에서 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 사례가 속출하며 불안감이 번지자, 보건당국은 “백신 접종과 사망의 연관성이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독감으로 인한 사망자가 1년에 3000명 안팎으로 접종 중단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22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께 광주 북구에 거주하는 80대 여성 A씨가 독감백신 접종 3일만에 숨졌다. A씨는 지난 19일 독감백신 중 SK바이오스카이셀플루4가를 접종받았으며, 이날 새벽 2시께 호흡곤란과 의식불명으로 전남대학교 병원으로 후송됐다. A씨는 고혈압과 당뇨, 심장질환 등을 앓고 있었다.
순천에서도 이날 독감 백신을 접종한 80대 남성 B씨가 숨졌다. B씨는 지난 19일 오전 8시 50분께 녹십자 생산 독감 백신을 접종했고 사흘이 지난 이날 오전 7시 30분께 집에서 쓰러진 채로 가족에게 발견됐다. 119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진 그는 오전 8시 30분께 사망했다. 사망 판정을 내린 병원 측은 B씨 사인을 심근경색으로 의심된다고 판단했다.
앞서 지난 20일 낮 12시 30분께에는 목포에 사는 90대 여성 C씨가 숨졌다. C씨는 앞서 이날 오전 9시께 목포의 한 병원에서 독감 백신 접종을 받았다. 귀가 후 이상 증세를 느낀 C씨는 가족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졌고 접종 3시간 30분 만에 숨졌다. 당시 의료진은 사인을 노환으로 판단했다. C씨는 심장질환 등 기저질환을 앓고 있었다고 전남도는 전했다. C씨가 접종한 백신은 녹십자 지씨플루쿼드리밸런트로 보건당국이 동일 접종기관, 동일 제조번호 접종자 204명에 대해 이상 반응을 조사한 결과 특이점은 파악되지 않았다.
독감 백신 접종 후 전국에 걸쳐 이날 오후 6시 현재 27명이 숨진 것으로 보고되면서 일각에서 백신 접종 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제기된 것과 관련해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종합감사에 출석, “독감 자체로 인한 사망자가 1년에 3000명 가까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독감으로) 어르신·고위험군에서 폐렴이나 다른 합병증이 생길 수 있고 독감으로 기저질환이 악화해 사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접종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광주·전남에선 코로나19 확진자도 발생했다. 장성군 소재 요양병원 입원을 위해 입원 전 검사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광주 거주 여성으로, 전남 179번째 확진자다. 이 환자는 20일 입원과 동시에 1인실에 격리돼 있었고 의료진도 보호복을 착용하며 환자를 돌봐왔다고 전남도는 설명했다. 광주에서도 이 여성과 접촉한 북구 거주 2명과 쿠웨이트에서 입국한 2명 등 4명이 신규 확진돼 총 누적확진자는 507명으로 늘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
광주·전남을 비롯한 전국에서 독감 백신 접종 후 사망 사례가 속출하며 불안감이 번지자, 보건당국은 “백신 접종과 사망의 연관성이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독감으로 인한 사망자가 1년에 3000명 안팎으로 접종 중단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순천에서도 이날 독감 백신을 접종한 80대 남성 B씨가 숨졌다. B씨는 지난 19일 오전 8시 50분께 녹십자 생산 독감 백신을 접종했고 사흘이 지난 이날 오전 7시 30분께 집에서 쓰러진 채로 가족에게 발견됐다. 119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진 그는 오전 8시 30분께 사망했다. 사망 판정을 내린 병원 측은 B씨 사인을 심근경색으로 의심된다고 판단했다.
독감 백신 접종 후 전국에 걸쳐 이날 오후 6시 현재 27명이 숨진 것으로 보고되면서 일각에서 백신 접종 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제기된 것과 관련해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종합감사에 출석, “독감 자체로 인한 사망자가 1년에 3000명 가까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독감으로) 어르신·고위험군에서 폐렴이나 다른 합병증이 생길 수 있고 독감으로 기저질환이 악화해 사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접종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광주·전남에선 코로나19 확진자도 발생했다. 장성군 소재 요양병원 입원을 위해 입원 전 검사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광주 거주 여성으로, 전남 179번째 확진자다. 이 환자는 20일 입원과 동시에 1인실에 격리돼 있었고 의료진도 보호복을 착용하며 환자를 돌봐왔다고 전남도는 설명했다. 광주에서도 이 여성과 접촉한 북구 거주 2명과 쿠웨이트에서 입국한 2명 등 4명이 신규 확진돼 총 누적확진자는 507명으로 늘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