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폭우에…광주소방, 올 여름 눈코 뜰새 없었다
구조 건수 4318건…8.4% 증가
배달 늘면서 오토바이 사고 급증
배달 늘면서 오토바이 사고 급증
올해 광주 화재, 구조, 구급 출동 현황에 코로나19, 폭우, 태풍 등 역대급 재난·재해에 시달린 지역 생활상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18일 광주시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까지 구조 건수는 4천318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982건)보다 8.4% 늘었다. 하루 평균 15.8건, 7.7명을 구조했다.
지난해 18건이었던 수난 구조는 379건으로 크게 늘었다. 8월 7일부터 3일간 내린 집중 호우, 8∼9월 잇따라 북상한 태풍의 영향에 따른 시설물 침수 사고가 다수였다.
코로나19로 음식 등 배달 서비스가 급증하면서 오토바이 사고도 지난해 31건에서 144건으로 급증했다. 생활 안전 출동 등 처리 건수는 하루 평균 35.2건, 총 9645건으로 작년보다 15.1% 늘었다. 자연재난과 관련된 출동이 464건(238%)이나 증가했으며 동물 포획은 339건(24%), 벌집 제거는 190건(9.1%) 늘었다.
화재는 하루 평균 2.3건, 총 647건이 발생했다. 인명 피해는 18명으로 지난해보다 4명, 재산피해는 25억8000여만원으로 12억6000만원 줄었다.
구급 출동은 코로나19 관련 이송 증가에도 하루 평균 177.4건, 총 4만8603건으로 지난해(5만656건)보다 4%정도 감소했다. 119는 확진자 493명, 고열과 기침 등 코로나19 증세를 보인 의심 환자 1315명 등 492명을 병원이나 임시 격리시설에 이송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18일 광주시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까지 구조 건수는 4천318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982건)보다 8.4% 늘었다. 하루 평균 15.8건, 7.7명을 구조했다.
지난해 18건이었던 수난 구조는 379건으로 크게 늘었다. 8월 7일부터 3일간 내린 집중 호우, 8∼9월 잇따라 북상한 태풍의 영향에 따른 시설물 침수 사고가 다수였다.
화재는 하루 평균 2.3건, 총 647건이 발생했다. 인명 피해는 18명으로 지난해보다 4명, 재산피해는 25억8000여만원으로 12억6000만원 줄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