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 직업 선호…창업 계획은 ‘7.9%’ 불과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실태조사…호남은 전국 12.9% 절반 수준
창업 경험 지원자 기업 혜택 1.9% 뿐…5개 권역 가운데 가장 낮아
창업 경험 지원자 기업 혜택 1.9% 뿐…5개 권역 가운데 가장 낮아
![]() |
호남권에서 창업교육 경험이 있는 10명 중 7명은 민간 단체나 기업으로부터 교육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창업 교육을 받은 사례는 전체의 5% 정도 뿐이었지만 그 비중은 점차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이 발표한 ‘2019 기업가정신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창업 계획이 있다는 응답률은 호남·제주권의 경우 7.9%에 그쳤고, 없다는 응답은 92%에 달했다.
전국적으로 창업 계획이 있다는 응답률은 12.8%였고, 없다는 응답은 87.2%을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개인 1만2004명과 기업 3085곳에 대한 표본조사 결과를 모수(개인 4092만2352명·기업 358만3984곳)로 추정한 결과로 2017년 국가승인통계로 승인을 받은 이후 세 번째 조사다.
지역별로 보면 충청이 20%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수도권·강원(15.3%), 부산·울산·경남(10.6%), 호남·제주(7.9%), 대구·경북(0.2%) 등 순이었다. 충청과 호남·제주, 대구·경북은 큰 격차를 보였다.
호남·제주권에서 창업계획이 있다는 응답률은 2017년 15%에서 2018년 6.9%로 반토막 난 뒤 지난해 7.9%로 소폭 올랐다. 전국 응답률도 19%(2017년)→16.6%(2018년)→12.9%(2019년)으로 하향세다.
이는 창업을 하겠다는 사람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뜻으로, 안정적인 직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창업 교육을 받았다는 비율은 5% 안팎으로 매우 저조했지만, 매해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남·제주권에서 창업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률은 2017년 3%, 2018년 4.7%, 2019년 5.1%으로 소폭 오르고 있다. 하지만 조사를 시작한 이래 전국 평균 응답률 8.6%(2017년)→9.7%(2018년)→7.7%(2019년)를 넘지는 못했다.
지난해 창업 교육을 받은 사례 가운데 교육을 받은 기관은 민간 단체(43.9%)와 민간 기업(33.2%)이 전체의 77.1%를 차지했다.
지자체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창업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이 24.5%로 뒤를 이었고 ▲공공기관(진흥원·공단)사업 22.5% ▲중·고등학교 교과 혹은 교육 프로그램 6.7% ▲대학 교과 혹은 교육프로그램 3.2% 등이 뒤를 이었다.
2년 전인 2017년에는 공공기관 사업을 통해 창업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률이 37.7%로 가장 많았지만 이듬해 민간 단체 응답률이 38.7%로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기업 스스로 ‘기업가 정신교육’이나 ‘창업 교육’을 운영·지원했다는 응답률은 8.7%로, 전년(0.2%)에 비해 크게 올랐다. 기업가정신,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지원한다는 전국 응답률은 7.5%로 집계됐다.
반면 창업 경험이 있는 지원자에 혜택을 주는 사례는 극소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경험 있는 지원자에 대한 혜택 부여 여부’를 묻자 호남·제주권 기업 1.9%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이는 전국 평균 3.1%를 밑돌고 5개 권역(수도·강원, 충청, 대경, 동남, 호남·제주) 가운데 가장 낮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창업 교육을 받은 사례는 전체의 5% 정도 뿐이었지만 그 비중은 점차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이 발표한 ‘2019 기업가정신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창업 계획이 있다는 응답률은 호남·제주권의 경우 7.9%에 그쳤고, 없다는 응답은 92%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개인 1만2004명과 기업 3085곳에 대한 표본조사 결과를 모수(개인 4092만2352명·기업 358만3984곳)로 추정한 결과로 2017년 국가승인통계로 승인을 받은 이후 세 번째 조사다.
지역별로 보면 충청이 20%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수도권·강원(15.3%), 부산·울산·경남(10.6%), 호남·제주(7.9%), 대구·경북(0.2%) 등 순이었다. 충청과 호남·제주, 대구·경북은 큰 격차를 보였다.
이는 창업을 하겠다는 사람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뜻으로, 안정적인 직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창업 교육을 받았다는 비율은 5% 안팎으로 매우 저조했지만, 매해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남·제주권에서 창업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률은 2017년 3%, 2018년 4.7%, 2019년 5.1%으로 소폭 오르고 있다. 하지만 조사를 시작한 이래 전국 평균 응답률 8.6%(2017년)→9.7%(2018년)→7.7%(2019년)를 넘지는 못했다.
지난해 창업 교육을 받은 사례 가운데 교육을 받은 기관은 민간 단체(43.9%)와 민간 기업(33.2%)이 전체의 77.1%를 차지했다.
지자체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창업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이 24.5%로 뒤를 이었고 ▲공공기관(진흥원·공단)사업 22.5% ▲중·고등학교 교과 혹은 교육 프로그램 6.7% ▲대학 교과 혹은 교육프로그램 3.2% 등이 뒤를 이었다.
2년 전인 2017년에는 공공기관 사업을 통해 창업 교육을 받았다는 응답률이 37.7%로 가장 많았지만 이듬해 민간 단체 응답률이 38.7%로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기업 스스로 ‘기업가 정신교육’이나 ‘창업 교육’을 운영·지원했다는 응답률은 8.7%로, 전년(0.2%)에 비해 크게 올랐다. 기업가정신,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지원한다는 전국 응답률은 7.5%로 집계됐다.
반면 창업 경험이 있는 지원자에 혜택을 주는 사례는 극소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경험 있는 지원자에 대한 혜택 부여 여부’를 묻자 호남·제주권 기업 1.9%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이는 전국 평균 3.1%를 밑돌고 5개 권역(수도·강원, 충청, 대경, 동남, 호남·제주) 가운데 가장 낮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