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군, 우봉 조희룡의 문학과 예술 재조명
심포지엄 28일 오후 1시 국립중앙박물관서 개최
![]() |
신안군은 28일 오후 1시 우봉 조희룡의 문학과 예술을 재조명하는 학술 심포지엄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학술행사는 ‘조선 제일의 매화 화가’, ‘시서화의 삼절’ ‘묵장의 영수’로 알려진 우봉(又峰) 조희룡(趙熙龍·1789∼1866)을 되돌아보기 위해 신안군과 한국미술사학회 공동으로 마련했다.
조희룡의 문학세계와 예술정신, 회화사적 의미, 임자도 유배 생활 등 다양한 분야 연구자 발표와 토론이 펼쳐진다.
조선 후기 문인화가 조희룡은 시서화에 능했던 인물로 당대의 문화예술을 주도했던 추사 김정희(1786∼1856)가 유배당할 때 그의 심복이라 오인을 받아 신안 임자도에 3년간 유배되는 고초를 겪기도 했다.
그러나 임자도에서 꽃피운 그의 예술혼은 회화뿐만 아니라 문학에 이르기까지 조선 후기의 새로운 예술적 흐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신안군은 국내 최대의 미술사 연구단체인 한국미술사학회와 공동학술행사를 통해 조희룡의 역사적 재평가와 그의 예술세계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군은 조희룡의 예술혼이 꽃핀 임자도를 포함해 14개 읍면을 문화예술로 꽃피우는 ‘1도(島) 1뮤지엄 프로젝트’를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신안=이상선 기자 sslee@
학술행사는 ‘조선 제일의 매화 화가’, ‘시서화의 삼절’ ‘묵장의 영수’로 알려진 우봉(又峰) 조희룡(趙熙龍·1789∼1866)을 되돌아보기 위해 신안군과 한국미술사학회 공동으로 마련했다.
조선 후기 문인화가 조희룡은 시서화에 능했던 인물로 당대의 문화예술을 주도했던 추사 김정희(1786∼1856)가 유배당할 때 그의 심복이라 오인을 받아 신안 임자도에 3년간 유배되는 고초를 겪기도 했다.
그러나 임자도에서 꽃피운 그의 예술혼은 회화뿐만 아니라 문학에 이르기까지 조선 후기의 새로운 예술적 흐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신안군은 국내 최대의 미술사 연구단체인 한국미술사학회와 공동학술행사를 통해 조희룡의 역사적 재평가와 그의 예술세계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안=이상선 기자 ss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