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원-핀란드 공동연구팀, 게임 중 버벅대는 ‘랙 현상’ 보정기술 개발
  전체메뉴
과기원-핀란드 공동연구팀, 게임 중 버벅대는 ‘랙 현상’ 보정기술 개발
2019년 07월 04일(목) 04:50
게임을 즐길 때 짜증을 유발하는 레이턴시 효과, 일명 랙을 보정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병주 문화기술대학원 교수와 핀란드 알토 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게임 겉보기 형태 변화로 이런 성과를 냈다고 3일 밝혔다.

레이턴시는 일반적으로 장치·네트워크·프로세싱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는 지연 현상이다.

입력 행위에 따른 출력 결과가 화면을 통해 가시적으로 나타날 때까지 걸리는 지연을 통틀어 ‘엔드 투 엔드 레이턴시’(end-to-end latency)라고 한다.

게임에서는 특히 레이턴시가 민감한 요소로 작용한다.

게임은 기본적으로 실시간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레이턴시는 실제 게임 플레이어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레이턴시 발생 게임 환경에서도 이용자 본래 실력으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보정 기술을 개발했다.

레이턴시 양에 따라 게임의 기하학적 디자인 설계를 바꾸는 게 골자다.

시간이 제한된 상태에서 적절한 순간에 버튼을 눌러야 하는 ‘움직이는 목표 선택 게임’을 대상으로 개발했다.

예컨대 다가오는 장애물을 점프해 피한다든지, 스크린 탭 방식으로 선반에서 무언가를 끌어와 한 곳에 차곡차곡 쌓는다든지 하는 종류가 해당한다.

이병주 교수는 “레이턴시 양만큼 게임 시계를 되돌려 보상하는 기존 방법과는 다르게 플레이어 게임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논문은 지난 5월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열린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 국제 학술대회 ‘CHI 2019’에서 풀 페이퍼로 발표됐다. /연합뉴스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