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저감 인공강우 첫 실험 결실 없어
![]() |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서해상에서 실시한 인공강우 첫 실험<사진>이 실패로 끝났다. 다만 기상청과 환경부는 이번 실험이 성패 여부를 떠나 인공강우 실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기술 축적의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25일 영광군 북서쪽 110㎞ 바다 위에서 기상항공기(킹에어 350)를 이용해 실험한 1차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그동안 가뭄 등에 대비한 인공강우 실험은 이뤄졌지만,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25일 영광군 1.5㎞ 상공에서 요오드화은(Agl) 연소탄 24발(3.6㎏)을 살포했다. 이번 시험을 통해 물질살포 지점의 구름 속 강수 입자의 성장을 확인했지만, 기상선박이나 지상 정규 관측망에서 비나 눈은 관측되지 않았다.
기상청은 “인공강우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 영광지역에서는 강수가 관측되지 않았다”면서도 “영광에 있는 모바일 관측 차량에서 몇분 동안 약한 안개비 현상이 있었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기상 선박 주위 해상에서도 비를 포함한 구름이 목격돼 정밀 분석 중이다. 이들 기관은 실험 내용을 분석한 뒤 다음달 말에 최종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기상청과 환경부는 ‘2019 운항계획’에 따라 기상여건을 분석해 15차례의 인공강우 실험을 할 계획이다.
/김한영 기자 young@kwangju.co.kr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과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25일 영광군 북서쪽 110㎞ 바다 위에서 기상항공기(킹에어 350)를 이용해 실험한 1차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그동안 가뭄 등에 대비한 인공강우 실험은 이뤄졌지만,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상청은 “인공강우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 영광지역에서는 강수가 관측되지 않았다”면서도 “영광에 있는 모바일 관측 차량에서 몇분 동안 약한 안개비 현상이 있었다”고 밝혔다.
한편 기상청과 환경부는 ‘2019 운항계획’에 따라 기상여건을 분석해 15차례의 인공강우 실험을 할 계획이다.
/김한영 기자 you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