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참사 원인 규명·무안공항 재개항 ‘분수령’
  전체메뉴
제주항공 참사 원인 규명·무안공항 재개항 ‘분수령’
제주항공 참사 피해자 추모위 출범…다음달 유족 설명회
엔진·기체 결함·운항·조류 등 4개 분야 구체적 설명 있을 듯
조사 결과·유족 수용 여부 따라 공항 인프라 개선 등 논의될 전망
2025년 11월 11일(화) 20:02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시 사고 현장을 수습하는 모습. <광주일보 자료사진>
정부가 다음달 4일부터 이틀 간 제주항공 참사에 대한 사고조사공청회를 개최키로 하면서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정부가 진행하는 제주항공 참사와 관련된 방위각, 엔진·기체 결함, 운항, 조류 등 4개 분야에 대한 공청회를 계기로 향후 수사 뿐 아니라 무안공항 재개항 시기도 가늠할 수 있다는 게 전남도 안팎의 분석이다.

◇유가족 납득할 수 있는 결과 나오나=11일 전남도와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 협의회 등에 따르면 다음달 4일부터 이틀 간 제주항공 유족 사고조사공청회가 서울 글로벌센터에서 열린다.

이승열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 사고조사단장은 지난달 29일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사고 1년 시점인 오는 12월 공청회를 열고 중간보고서를 발표해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 비행자료기록장치(FDR)를 공개해 투명성있게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조류 ▲방위각 ▲운항 ▲엔진 및 기체 등 4개 분야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이뤄질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사조위는 해외 엔진 제작사, 미국 NTSB 및 프랑스 BA 등에도 초청장을 보내 참석을 독려, 진술인 자격으로 초청한다고 밝혔다.

사조위는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기체잔해, 엔진, 통신 기록 및 비행기록장치 등에 대한 정보 수집·분석과 현장조사를 진행해 왔으며 현재 12개 조사 단계 중 절반 수준인 6~7단계 검사·분석 및 보고서 작성 과정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12일 출범하는 ‘12·29 여객기 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른 ‘피해자 지원·추모위원회’에 참여하는 민간 전문가 자문단을 통해 유족들의 요구사항 등을 충실히 반영토록 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공청회에서도 유가족 추천 전문가가 질문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된다.

◇무안공항 재개항 시기 가늠할 수 있나=전남도와 지역사회 안팎에서는 공청회에서 밝혀지는 사고 조사 결과를 유가족들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향후 제주항공 참사 수사와 후속 조치 등에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신속한 수사와 재발 방지를 위한 공항 시설 개선으로 이어질 지, 미진한 결과에 대한 반발과 재조사 요구가 비등할 지 결정짓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게 전남도 안팎의 분석이다.

특히 운항이 중단된 무안공항 재개항 시기도 논의되는 분수령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남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사고조사 공청회를 계기로 무안공항 재개항을 위한 후속 절차가 추진된다면 오는 ‘2026여수세계섬박람회’에 참가할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6여수세계섬박람회’는 전 세계 최초 ‘섬’을 주제로 한 박람회로, 현재 현재 프랑스와 그리스, 피지(관광청), 동티모르, 일본, 필리핀 등 18개 국가가 참가를 확정 지었다.

또 이미 ‘제 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16~2020년)에 ‘무안국제공항을 서남권 중심공항으로 활용하고 광주공항은 무안공항으로 통합 추진한다’고 적시했다는 점에서 민간·군 공항의 이전 논의도 속도를 내면서 지방선거 때면 거론되는 ‘광주공항 국제선 유치’라는 ‘철지난’ 이슈로 지역 갈등을 부추기는 분위기를 잠재울 수 있다는 기대감도 읽힌다.

전남도 관계자는 “사고조사공청회 결과가 어떻게 나오느냐, 유족들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무안공항의 시설 인프라 개선 및 재개항 시기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 협의회는 지난 1일 서울 용산에서 ‘300일 진상규명 촉구 집회’를 개최했다.

유가족협의회는 항공·철도 사고조사에 관한 법률 개정을 통해 조사위를 독립시키고 독립된 조사위에 모든 자료를 이관할 것, 유가족과 전문가에게 수집된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할 것, 지원단의 모든 절차를 유가족 협의회와 공유하고 협의해 공동으로 진행할 것 등을 촉구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